국가정보원은 18일 이슬람국가(IS)와 북한의 연계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외국 정보기관과 협의 중이라고 밝혔다.
국정원은 국회 정보위원회 전체회의에서 ‘북한과 IS가 연계해 국내 테러를 모의할 수 있다’는 지적에 대해 이같이 보고했다고 정보위 여야 간사인 새누리당 이철우·새정치민주연합 신경민 의원이 전했다. 그러나 국정원은 “시리아와 가까운 북한과 IS의 연계 가능성은 상존하나 뚜렷한 증거나 구체적인 첩보는 아직 없다”고 덧붙였다.
국정원은 또 2010년 이후 국제테러 조직과 연계됐거나 테러 위험인물로 지목된 국내 체류 외국인 48명을 적발, 강제출국 조치했다고 보고했다. 이와 별도로 국정원은 2년간 대구 성서공단 S공업사 프레스반 사원으로 근무했던 인도네시아 노동자 1명이 출국 후 IS에 가입해 활동하다 사망한 사실도 파악됐다고 밝혔다.
국정원은 IS가 지난 8월 간행물 등을 통해 우리나라를 미국이 주도하는 ‘십자군 동맹’에 포함된 테러 대상국으로 분류한 것이 확인됐으며, 국내에서도 젊은층과 이슬람 노동자 중에서 IS에 호감 있는 사람이 발견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병호 국정원장은 “국내에서도 ‘외로운 늑대’ 형태로 테러 인프라가 구축될 가능성에 철저히 대비해야 한다”고 말했다.
국정원은 특히 IS가 신규대원 모집을 위해 소셜네크워크서비스(SNS)를 적극 활용하고 있다고 보고했다. 국정원은 “IS는 유럽 출신의 컴퓨터 전문가와 디자이너를 활용해 SNS 계정 3억개 정도를 돌리고 있으며 전 세계적으로 하루 평균 20만개의 추종 글이 올라온다”며 “각국에서 하루 평균 2000개 정도 계정을 폐쇄하지만 늘어나는 속도를 따라가지 못한다”고 밝혔다.
아울러 국정원은 올 들어 시리아 난민 200명이 우리나라에 난민 신청을 했다고 보고했다. 국정원과 법무부에 따르면 지금까지 난민 신청을 한 시리아인은 총 848명이며, 이 중 지난 1∼9월 입국한 시리아인이 200명이다. 대부분 인도적 체류 허가를 받아 ‘준(準)난민 지위’로 모처에서 임시체류 중이며, 법무부는 이들이 계속 체류할 수 있는지 심사하고 있다. 10월 이후 들어온 14명은 아직 임시체류 허가를 받지 못해 공항 내 외국인보호소 등에 분산 수용 중이다.
이 의원은 “유럽의 보트 난민과 달리 우리나라에 온 난민은 비행기를 타고 온 사람들”이라며 “살기가 그나마 괜찮은 난민”이라고 말했다.
한장희 전웅빈 기자 jhhan@kmib.co.kr
[관련기사 보기]
[국회 정보위 보고] 국정원 “北-IS 연계 가능성 상존”… 증거는 없어
입력 2015-11-18 22: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