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정보원이 18일 국회 정보위원회의 ‘파리 테러사건 관련 국내 위협 평가 및 대책’ 현안보고에서 공개한 내용은 크게 세 가지다. 인터넷상에 이슬람국가(IS)를 지지하는 글을 올린 우리 국민 10명을 적발했고, 국제 테러조직과 연계된 48명의 외국인을 추방했으며, 시리아 난민 200명이 국내에 들어와 있다는 것이다. 국정원은 이런 사례들을 근거로 “우리나라도 더 이상 테러 안전지대가 아니다”고 강조했다.
◇“국내 체류했던 외국인 IS 가담 확인”=국정원은 IS에 가입해 활동하다 지난 2월 사망한 것으로 파악된 인도네시아 노동자 1명이 국내에 머물렀던 것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이 인도네시아 노동자는 출국하기 전 2년 동안 대구 성서공단에서 근무한 것으로 드러났다. 정보위 야당 간사인 새정치민주연합 신경민 의원은 브리핑에서 “해외 정보기관이 우리나라에 이런 사실을 전달하면서 국내 취업자 중 IS 가담이 확인된 것”이라고 했다. 이 사람이 언제 IS에 가담했는지는 확인되지 않았다. 국내 체류 당시 이미 IS 대원이었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얘기다.
강제 추방된 48명은 2010년 이후 국제 테러조직과 연계됐거나 이슬람 극단주의를 유포하는 등 테러 위험인물로 지목된 사람들이다. 레바논의 무장정파 헤즈볼라 소속이면서 비료회사 직원으로 위장해 수시로 한국에 들어와 사제폭탄 원료인 질산암모늄을 제3국으로 몰래 보내려던 사람을 적발한 것이 한 유형이다. 국정원은 지난달 국회 국정감사에서 “질산암모늄을 국내서 밀반출하려던 IS 동조자들을 공항에서 붙잡았다”고 밝혔었다. 인터넷에 IS를 지지하는 글을 올린 10명의 구체적인 신원은 밝혀지지 않았다. 이병호 국정원장은 “관련 법령이 없어 정확한 인적사항을 파악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 국회에 계류 중인 대테러 방지 법안들을 조속히 통과시켜 달라고 요청했다.
IS의 외국인 전투원(TFT)은 최근 100개국 3만명으로 급증한 것으로 파악됐다. 정보위 여당 간사인 새누리당 이철우 의원은 “이들 중 서방 출신 5000여명이 최근 본국으로 귀환했다”며 “이들을 조사하는 과정에서 ‘음악공연장에서 테러가 발생할 수 있다’는 첩보가 입수돼 파리 테러 사건 발생 두 달 전 프랑스 정보기관에 전달됐지만 테러를 막지 못했다고 한다”고 말했다. 이 국정원장은 파리 테러 발생 두 달 전인 지난 9월 프랑스 정보기관 책임자를 만나 IS의 테러 위험성에 대해 논의했는데, 당시 프랑스 측은 “IS 테러의 위험성을 극도로 경계하고 있고, 모든 수단을 동원해 대비하고 있다”고 언급한 것으로 전해졌다.
◇“‘외로운 늑대’ 테러 대비해야”=국정원이 “‘외로운 늑대’ 형태의 테러 가능성에 철저히 준비해야겠다”고 밝힌 것은 국내에서도 IS에 관심을 가진 사람들이 증가하는 등 IS가 손을 뻗칠 수 있는 환경이 구축되고 있다는 것과 무관치 않다는 분석이다. 외로운 늑대형 테러는 특정 이념이나 조직에 가담하지 않고 정부나 사회에 대한 반감으로 테러에 나서는 행태를 의미한다.
국정원은 이날 국내에 거주하고 있는 15만여명의 무슬림(이슬람교도) 현황도 보고했다. 국내에 무슬림 집단 거주지는 44곳이고 기도원 151곳, 무슬림 커뮤니티 17개 등이 운영 중인 것으로 파악됐다.
권지혜 전웅빈 기자 jhk@kmib.co.kr
[관련기사 보기]
“대구 공단 근무했던 印尼 노동자 IS 가담”
입력 2015-11-18 21:07 수정 2015-11-19 00: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