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슬람 극단주의 세력인 이슬람국가(IS)를 추종하는 외국인이 처음으로 국내에서 검거됐다. 18일 경찰에 검거된 인도네시아인은 2007년 위조 여권으로 입국한 불법체류자로서 최근 수개월 동안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 테러단체 ‘자흐밧 알 누스라’를 지지하는 활동을 했다. 이 단체는 IS 지도자 알 바그다디의 지시에 따라 설립됐으며, 올해 6월 시리아에서 주민 20명을 살해하는 등 반(反)정권 테러활동을 벌이고 있다. 조직원은 1만여명으로 추정되며 국제 테러단체로 지정됐다.
국가정보원은 이날 국회 정보위 보고를 통해 국내에서 IS에 대한 공개 지지를 표명한 사람이 10여명 있으며, 우리나라에 들어온 테러단체 가입자 50여명을 출국 조치했다고 밝혔다. 또 IS 가입을 위해 시리아로 떠난 고교생 김모군 이후에 2명이 더 가려다 공항에서 출국금지 조치됐다고 보고했다. 외국인 IS 동조자들이 폭탄 원료인 질산암모늄을 해외로 빼돌리려다 적발된 사례도 있었다.
이제 IS의 테러는 지구 저편의 문제가 아니다. 이미 IS는 미국 주도의 대테러활동에 참여하는 한국 등 62개국을 ‘십자군동맹’으로 지목, 그 국민을 살해하라고 지시한 상태다. 극단주의 세력의 테러 위협은 우리 코앞에 와 있다. 지리적 요건 등으로 지금까지 한국은 극단주의 테러 위협에 다소 비껴 있었지만 경찰과 국정원의 설명대로 국내에서의 테러 발생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게다가 우리 국민들은 중동은 물론 유럽이나 미국 등 세계 곳곳에서 활동하고 있다. 언제라도 테러 표적이 될 수 있는 것이다.
정부는 대테러 활동을 강화해야 한다. 국내 IS 추종자와 연계 조직에 대한 감시 및 정보활동은 필수적이다. 특히 일부 불평불만자들이 극단적 사고방식에 빠져 저지르는 외로운 늑대형 테러에 대한 대비책도 세워야 한다. 서울은 어디를 가나 대중교통 수단이나 대형 공공시설이 널렸고, 내국인은 물론 외국인이 모이는 곳도 많은 국제도시다. 테러범들이 노리기에 딱 좋은 곳이다.
테러는 일어나기 전에 막는 것이 최선이다. 예방을 위해서는 관련 기관들의 정보 수집·분석·공유·대응이 신속히 이뤄져야 한다. 발의된 지 14년이 된 대테러방지법이 빨리 제정돼야 한다. 정치권이 불신과 정파적 이해 다툼으로 법 제정을 자꾸 미루기만 하는 것은 직무유기다. 야당도 필요성은 인정하는 만큼 이번 국회에서 적절한 입법안을 만들어내야 한다.
테러와 폭력은 정치와 이념을 떠나 공동체를 파괴하는 최악의 범죄다. 대형 테러가 터진다면 사회적 신뢰와 규범, 제도, 책임 등 엄청난 사회적 자본이 훼손될 것이다. 공동체 파괴를 막기 위해서는 극단주의 세력들이 스며들 수 있는 여지를 만들어주지 않는 것도 필요하다. 정부는 이런 부분까지도 세세하게 신경을 써 예방활동을 벌여야 한다.
[사설] 극단주의 테러, 더 이상 강건너 불 아니다
입력 2015-11-18 18: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