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치민주연합 리더십 공방이 활활 타오르는 상황에서 중도성향 전·현직 의원들이 문재인 대표와 안철수 의원의 협력을 강하게 촉구하고 나섰다. 두 사람 모두 이 제안에 긍정적 반응을 보이면서 당내 갈등 수습의 촉매제가 될 수 있을지 당 안팎의 시선이 집중되고 있다.
당내 중도성향 의원 모임인 ‘통합행동’은 16일 국회 정론관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문 대표와 안 의원이 당내 통합과 혁신, 범야권 통합을 위한 실질적 출발점을 만들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문재인·안철수 협력을 실제화하기 위해 ‘세대혁신 비상기구’를 구성해 당 혁신 프로그램을 만들고, 통합 전당대회 개최나 선거대책위원회 구성 등을 통해 야권 제 세력과 통합하라고 주문했다.
이들은 특히 문 대표에게 부정부패 척결과 낡은 진보 청산, 수권비전위원회 구성 등 안 의원이 제안한 혁신안을 수용하라고 압박했다. 안 의원이 제안한 혁신안과 ‘김상곤 혁신위원회’의 혁신안을 함께 논의해 총선 전략을 세우라는 것이다. 당내 주류·비주류 의원 소통채널인 ‘7인회’도 국회에서 ‘문·안·박(문재인·안철수·박원순) 연대’ 관련 논의를 이어갔다.
‘문·안 연대’와 ‘문·안·박 연대’ 요구가 공식 제기되면서 비노(비노무현) 의원 모임인 ‘민주당 집권을 위한 모임(민집모)’은 당초 예고했던 ‘문재인 사퇴 기자회견’을 연기했다. 민집모 소속 문병호 의원은 기자들과 만나 “당내 여러 의원과 정파들이 내분 수습을 위해 대안을 만들고 있다”며 “그런 것들을 살펴보고 다시 논의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당사자인 문 대표와 안 의원 측은 통합행동의 제안을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문 대표는 기자들과 만나 “좋은 얘기”라며 안 의원과 대화할 뜻을 내비쳤다. 문 대표 측은 “당의 통합을 위한 건설적 공론화는 매우 바람직한 것”이라면서도 “기자회견 내용만 보면 중진들을 겨냥한 것으로도 보여 상당한 파장이 예상된다”고 말했다. 안 의원도 “모든 협력의 단초는 신뢰할 수 있는 혁신의 진정성과 실천의지, 그리고 이를 위한 제반 조치에 달려 있다”고 밝혔다. 안 의원 측은 “문 대표가 우리의 제안을 수용해야 한다는 것이 전제”라고 설명했다.
한편 새정치연합 선출직공직자평가위원회는 평가 결과 하위 20%에 해당하는 현역의원을 공천 심사에서 원천 배제하는 내용의 시행세칙을 마련, 최고위원회의에 보고했다. 그러나 최고위원 간 이견이 드러나는 등 시행세칙 처리까지 상당한 진통이 예상된다.
최승욱 기자 applesu@kmib.co.kr
‘갈등’ 문재인-안철수 ‘화합’ 손 잡나
입력 2015-11-16 22:39 수정 2015-11-16 22: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