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기간산업 구조조정을 위해 철강과 석유화학업의 과잉설비 감축을 독려하고 해외 투자 개발형 건설사업을 활성화하기 위한 펀드를 조성하기로 했다. 또 추후 논의될 상세한 협의 내용은 현재 채권은행이 진행 중인 대기업 신용위험 평가에도 반영하도록 할 예정이다.
정부는 15일 오후 서울 광화문 금융위원회 대회의실에서 임종룡 금융위원장 주재로 ‘제2차 산업경쟁력 강화 및 구조조정 협의체’를 열어 구조조정 촉진을 위한 정책지원 방안을 마련했다.
우선 철강과 석유화학 업종은 공급과잉 분야 설비를 줄여나가도록 하면서 업계의 자율적 구조조정을 도울 방침이다. 건설업의 경우 부실 예방을 위한 선제적 시장 환경 개선을 추진하고, 해외 수주 환경 악화가 예상되는 만큼 투자개발형 사업 활성화를 위한 펀드 조성 등을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해운업은 경쟁력 확보가 쉽지 않은 원양 정기선 분야의 근본적 경쟁력 강화 방안이 필요하다는 데 뜻을 모았다.
금융위 관계자는 “범정부부처가 구조조정 방향을 공유하고 누가 어떻게 어떤 일을 할 것인가를 정하는 자리였다”며 “논의 내용 가운데 일부는 금융감독원이 채권은행에 전달해 기업의 신용위험 평가에 반영, 구조조정을 촉진하도록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채권은행은 지난 4∼6월 대기업 정기 신용위험 평가를 통해 구조조정 대상 기업 35곳을 선정했지만 국내외 경제 상황이 악화됨에 따라 지난달부터 수시 신용위험 평가를 하고 있다. 평가 결과는 다음달 발표된다.
박은애 기자 limitless@kmib.co.kr
정부, 기간산업 구조조정 정책지원案 마련
입력 2015-11-15 21: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