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파리 연쇄 테러로 유럽의 난민 정책이 ‘포용’에서 ‘통제’로 방향을 굳힐 전망이다. 테러 용의자 중 2명이 그리스를 통해 프랑스로 입국한 난민 출신인 것으로 나타나 ‘난민 위장 테러’에 대한 우려가 이미 현실화된 것이라는 비난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올 들어 그리스를 거쳐 유럽으로 향하는 중동 난민이 꾸준히 늘고 있는 가운데 테러범들이 난민으로 위장해 유럽에 잠입할 수 있다는 경고가 계속돼 왔다.
14일(현지시간)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 등 외신들은 파리 테러가 유럽연합(EU)의 난민 통제 방침을 가속화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이미 유럽 각국이 국경 통제에 나선 상황에서 ‘잠재적 테러리스트’로 비난받고 있는 중동 난민을 포용하자는 목소리는 더욱 힘을 잃을 것으로 보인다. 이번 테러를 계기로 유럽에서 이슬라모포비아(이슬람 혐오증)도 더욱 거세질 전망이다.
파리 테러 현장에서 발견된 용의자들의 여권과 지문을 분석한 결과 그중 2명이 그리스에서 난민 등록을 한 뒤 프랑스로 흘러든 것으로 확인됐다고 AFP통신 등이 보도했다. 최근 튀니지 출신의 알카에다 테러범이 난민으로 위장해 이탈리아를 거쳐 유럽에 숨어들었다가 체포된 경우도 있다. 이번 테러범들은 그리스 레로스섬을 통해 프랑스에 입국했다.
WSJ는 “파리 테러는 유럽을 망연자실하게 만들었고, EU 최대 위기인 난민 문제를 심화시키고 있다”면서 “파리 테러범들은 유럽이 쏟아져들어오는 중동 출신 난민들을 감당할 수 없다고 주장하는 ‘난민 포용 반대론자’들에게 빌미를 준 것”이라고 분석했다. AP통신 역시 “테러 용의자 가운데 일부가 유럽으로 건너온 난민이라는 소식으로 인해 유럽의 난민 정책을 둘러싼 논쟁이 더욱 뜨거워질 것”이라고 전했다.
외신들은 특히 이번 테러 이후 독일의 난민 정책을 주시하고 있다. 독일은 시리아 난민을 무조건 받아들이겠다며 난민 포용 정책을 펼치다가 최근 이를 폐기했다. AP통신은 “난민 정책을 오랫동안 반대한 극우세력뿐만 아니라 독일 국내외에서 난민 정책에 대한 회의론이 생길 것”이라고 분석했다. 독일에는 현재 하루 1만명가량의 난민이 입국하고 있다. 독일 의회 한 관계자는 “난민들 속에 섞여 들어올 테러리스트들에 대한 두려움이 커지고 있다”고 WSJ에 말했다.
북유럽은 최근 국경 통제를 강화하려는 움직임을 보여 왔다. 스웨덴은 지난 12일부터 열흘간 국경에서 검문검색과 여권 검사 등을 하기로 했다. 노르웨이 등 다른 북유럽 국가들도 국경 통제와 이민자 관리를 강화하고 나섰다. EU 회원국들의 난민 분산 수용에 반대하던 동유럽의 폴란드 정부는 파리 테러가 발생하자 난민을 더는 수용할 수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
임세정 기자 fish813@kmib.co.kr
[관련기사 보기]
[파리 연쇄 테러] ‘난민 위장 테러’ 공포가 현실로… 유럽 ‘난민 통제’로 선회 불보듯
입력 2015-11-15 22: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