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군이 연평도 포격도발 5주년을 맞아 공식 명칭을 ‘포격도발’에서 ‘포격전’으로 바꾸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군 관계자는 15일 “해병대가 최근 연평도 포격도발 공식명칭을 연평도 포격전으로 변경하는 안을 국방부에 건의했다”고 밝혔다.
해병대는 ‘포격도발’이란 용어가 북한군의 일방적인 공격과 우리 군 피해에 초점이 맞춰져 있고 당시 해병대 대응이 제대로 부각되지 않는다며 이같이 제안한 것으로 전해졌다.
연평도 포격도발은 2010년 11월 23일 오후 북한군이 기습적으로 방사포 170여발을 이 지역에 발사, 해병대원 2명과 민간인 2명 등이 사망한 사건이다.
당시 해병대는 도발 발생 13분 만에 K-9 자주포로 대응사격에 나섰다. 해병대원들은 북한군 포격이 계속되는 와중에도 신속히 제 위치로 이동해 대응사격을 했다. 한 병사는 방탄모에 불이 붙은 상태에서 사격을 계속하는 투혼을 보여주기도 했다. 80여발의 K-9 자주포탄이 발사됐으며, 북한군 피해도 적지 않았던 것으로 전해졌다.
군 관계자는 “당시 해병들이 보여준 전투력을 제대로 평가하기 위해 명칭을 바꿀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명칭이 바뀌면 전사자와 부상자에 대한 예우도 높아질 수 있어 군의 사기진작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하지만 도발주체가 불분명해지는 문제점도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한편 연평도 포격도발 시 첫 대응 사격을 했던 해병대 부사관이 5년 만에 연평부대로 자원 복귀했다.
지난해 9월 연평부대에 전입한 포8중대 포술 담당 천중규(29) 중사는 당시 이 부대 포7중대 6포반장이었다. 당시 하사였던 그는 북한군이 7포대에 집중사격을 하자 부대원과 함께 중대장의 명령에 따라 곧바로 대응사격에 나섰다. 천 중사는 이듬해 11월 해병대 1사단으로 이동했지만 연평부대 포술 담당 자리가 비었다는 말을 듣고 “전투 경험이 있는 내가 가겠다”고 자원했다고 한다.
그는 포격도발 때 포상(포를 배치하는 진지)에서 생사를 같이했던 6명의 전우들과 지금도 연락을 주고받고 있다.
최현수 군사전문기자 hschoi@kmib.co.kr
軍, 연평도 ‘포격도발’ 명칭 ‘포격전’으로 변경 추진
입력 2015-11-15 21: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