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대선 당시 우리 사회에서 큰 이슈가 됐던 ‘반값 등록금’ 문제가 내년 대선을 앞둔 미국에서도 불거졌다. 미국 일간 워싱턴포스트(WP)는 12일(현지시간) 미국 캘리포니아주와 뉴욕, 필라델피아, 포틀랜드, 시애틀 등을 중심으로 약 110개 대학에서 등록금 인하를 요구하는 시위가 벌어졌다고 전했다.
‘백만학생행진(Million Student March)’이라 이름 붙은 이 시위 참가자들은 이날 정오 무렵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통해 각 대학에 모여 “우리는 학생이지 고객이 아니다” “교육은 곧 권리다” 등의 구호를 외쳤다. 시위에 나선 대학에는 코넬대와 UC버클리 등 명문대도 포함됐다.
이들은 공립대학 등록금 폐지와 학자금 대출 부채 탕감, 대학 내 일자리 최저임금 시간당 15달러(약 1만7400원) 이상 인상을 요구했다. 경제 일간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올해 미국 대학 졸업생들 중 71%가 학자금 대출을 안은 채 졸업한다. 이들이 빚진 금액은 사상 최대인 평균 3만5000달러(약 4000만원) 이상이다. 하버드대 정치연구소는 30세 이하 성인 57%가 대학생 부채가 젊은세대에게 주요 이슈라고 생각한다고 밝힌 바 있다.
대선주자들 역시 이 문제를 주목하고 있다. 가장 적극적으로 대학 등록금 문제를 제기하고 나선 버니 샌더스 상원의원을 비롯해 힐러리 클린턴 전 국무장관 등 민주당 예비후보들은 모두 등록금 관련 공약을 내놓았다. 보수 정당인 공화당에서도 마르코 루비오 상원의원과 젭 부시 전 플로리다 주지사가 비슷한 공약으로 대학생 표심 잡기에 나서고 있다.
조효석 기자 promene@kmib.co.kr
“등록금 폐지” 美 대학 동시다발 시위
입력 2015-11-14 04: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