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가 이른바 ‘총선 출마용’ 개각 단행 여부에 대해 “당분간 개각은 없다”고 밝혔다. 청와대가 개각 여부에 대해 공식 입장을 밝힌 것은 극히 이례적이다. 최근 정종섭 행정자치부 장관의 사의 표명 이후 확산돼 온 ‘대구·경북(TK) 물갈이설’과 2차·3차 ‘총선용 개각’에 대한 비판론을 진화하기 위한 차원으로 풀이된다.
김성우 청와대 홍보수석은 12일 춘추관에서 기자들과 만나 “시급한 민생 관련 법안, 노동 관련 개혁입법들을 정기국회 내 통과시켜야 한다는 데 초점을 모아야 하는 상황”이라며 “당분간 개각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19대 국회의 마지막 정기국회에 노동개혁 5개 법안, 경제 활성화 4개 법안, 자유무역협정(FTA) 비준동의안 처리 문제가 있다”며 “(이 법안들이) 꼭 통과돼야 하는 절박한 상황이고, 현재 국정 운영의 모든 초점은 거기에 모여 있다”고 했다.
청와대가 직접 개각 단행 여부에 명확한 선을 그은 배경은 최근 ‘총선용 개각’ 비판 여론이 커진 데 따른 것이다. 박근혜 대통령이 지난 10일 국무회의에서 총선을 겨냥해 “진실한 사람들만 선택해 달라”고 언급한 뒤 이른바 ‘국민 심판론’마저 부각되면서 다른 중요 국정 현안이 묻혀버리기까지 했다. 이런 상황에서 이번 주 중 개각이 단행될 경우 국정 운영의 중심이 급속히 당 쪽으로 쏠리고 정국 흐름도 빠르게 총선 국면으로 돌입하게 될 수 있다. 박 대통령도 이런 점을 의식해 직접 청와대가 입장을 밝히라고 지시한 것으로 전해졌다.
청와대 역시 박 대통령 발언의 초점이 ‘19대 마지막 정기국회 내 법안 처리’에 찍혀 있었으나 결과적으로 ‘국민 심판론’만 집중 조명돼 곤혹스러워하는 분위기가 역력하다. ‘TK 물갈이설’이나 ‘총선용 순차개각’ 등은 청와대로서도 반가운 이슈가 아니다. 그런 만큼 이번 기회에 개각에 대한 입장을 확실히 밝히는 게 필요했다는 의미다.
이에 따라 개각은 14∼23일 박 대통령의 다자회의 일정이 마무리된 뒤 12월 초순쯤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폭은 교체 요인이 있는 인사들을 한꺼번에 바꾸는 중폭 수준이 될 전망이다. 최경환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황우여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정종섭 장관, 윤상직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김희정 여성가족부 장관 등 5명 일괄 교체에 ‘플러스알파’로 간다는 얘기다. 김 수석도 개각 시점에 대해 “후임자가 결정되거나 국정현안이 잘 마무리되는 상황 등을 고려해 그때 이뤄질 것으로 생각한다”고 했다.
남혁상 기자 hsnam@kmib.co.kr
靑 “당분간 개각 없다”… ‘총선용’ 비판 조기 진화 나서
입력 2015-11-12 2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