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도 총선 공천 혁신안에 대한 새정치민주연합 당내 갈등이 결국 수면 위로 튀어올랐다. 비주류 진영이 오픈프라이머리(완전국민경선제) 당론 채택을 요구하고 나서자 주류 측은 이미 정해진 당헌·당규를 되돌리겠다는 것이냐며 맞섰기 때문이다.
양 진영은 12일 국회에서 열린 정책의원총회에서 최규성 의원이 제안한 오픈프라이머리 당론 채택 여부를 놓고 격론을 벌였다. 최 의원은 당내 ‘선출직공직자평가위원회’의 평가 결과와 무관하게 전면적 오픈프라이머리 도입을 요구하며 표결을 제안했다. 비주류 진영에서는 “오픈프라이머리 도입 의견서에 서명한 의원이 과반을 넘었으므로 이미 당론”이라는 주장도 나왔다.
그러나 주류 측 전해철 의원은 “당헌·당규에 배치되는 것을 의총에서 의결하는 건 타당하지 않다”고 반박했다고 박수현 원내대변인이 전했다. 지난 9월 개정된 당헌에는 안심번호 도입을 전제로 한 오픈프라이머리 도입이 규정됐기 때문에 이에 배치되는 방식의 오픈프라이머리를 당론으로 정할 수 없다는 논리였다. 설훈 의원은 “새누리당이 (오픈프라이머리 도입을) 받지 않으면 당내 분란만 생긴다”며 논의 유보를 요구했다.
결국 중앙위원회 의장인 김성곤 의원이 일괄적 공천배제 대신 평가위 평가 하위 20%에 해당되는 의원에게 공천 감점을 주자는 중재안을 제시했지만 총의가 모이지는 않았다.
최 의원은 의총 후 기자들과 만나 “(평가위의 평가는) 신뢰할 수 없고, 옳지도 않다”며 “국민과 당원 투표로 (국회의원을) 잘라야지 20%를 정해 자르면 안 된다”고 강하게 말했다.
공천혁신안에 대한 당내 계파 갈등을 보는 시선은 싸늘하다. 한 당직자는 “어떻게든 당을 살려 총선에서 이길 생각을 해야지 이렇게 밥그릇싸움만 하면 결국 모두 죽게 된다”고 성토했다.
한편 지난 10·28재보선 이후 서로 각을 세워 왔던 문재인 대표와 박지원 의원은 의원총회 도중 국회 당대표실에서 전격 회동했다. 박 의원은 회동 후 통합전당대회와 통합조기선대위 등 지도체제, 문 대표 거취 등 현안에 대해 이야기를 나눴다고 전했다.
최승욱 기자 applesu@kmib.co.kr
[관련기사 보기]
“오픈프라이머리 의총서 표결로 도입하자” 비주류 ‘하위 20% 탈락’에 반발
입력 2015-11-12 22: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