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안양실내체육관에서 지난 10일 열린 전주 KCC와 안양 KGC인삼공사의 경기. KGC가 90-84로 앞선 종료 10여초를 남기고 재미있는 장면이 나왔다. KCC 김태술이 공을 가지고 있지 않은 KGC 양희종에게 반칙을 시도했다. 그러자 양희종이 화들짝 놀라 아예 코트 바깥으로 도망갔다. 그 사이 KGC는 찰스 로드가 무주공산인 골밑에서 점수를 내고 사실상 승부를 확정지었다.
앞서 8일 KCC와 원주 동부의 경기에서도 그랬다. KCC가 78-77로 앞선 경기 종료 30.6초를 남기고 갑자기 심판의 휘슬이 울렸다. 공은 KCC 리카르도 포웰이 가지고 있었지만 엉뚱하게도 공과 전혀 상관없는 웬델 맥키네스에게 반칙이 지적됐다. 웬델은 KCC 하승진에게 일부러 반칙을 저질렀다.
농구에서 막판까지 치열한 싸움이 이뤄질 경우 간발의 차로 뒤지고 있는 팀이 반칙작전을 거는 것은 흔한 일이다. 자유투가 들어가지 않기를 비는 대신 곧바로 공격권을 얻어 승부를 뒤집기 위한 것이다. 통상 공을 가진 선수에게 반칙해 자유투를 내주고 공격권을 되찾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그런데 최근에는 공을 누가 가지고 있는지 상관없이 자유투가 약한 선수에게 이런 반칙작전이 이뤄지고 있다. 양희종의 올 시즌 자유투 성공률은 33.3%로 매우 낮다. 하승진 역시 자유투 성공률이 44%로 부정확하다.
이는 올 시즌부터 개정된 농구 규칙 때문이다. 한국프로농구는 지난해까지 미국프로농구(NBA) 규칙을 따르다가 올 시즌부터 국제농구연맹(FIBA) 룰을 따르고 있다. NBA에선 이런 반칙작전이 경기 시간을 지연시킨다는 이유로 종료 2분을 남기고 공과 관계없는 반칙이 나오면 자유투와 공격권을 함께 주고 있다. 그런데 FIBA 규칙에는 그런 규정이 없다. 각 구단이 바뀐 규정을 영리하게 사용하고 있는 것이다.
다만 반칙작전에 당하는 선수는 불쾌해 하고 있다. 하승진은 “나의 자유투 성공률이 좋지 못해 생긴 일”이라며 “경기의 재미를 생각한다면 규정에 아쉬운 부분도 있다”고 말했다.모규엽 기자
[프로농구] 경기 막판 승리 위한 반칙작전의 묘미
입력 2015-11-12 2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