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감원, 신용위험평가 결과] 中企 175곳 구조조정 수술대 오른다

입력 2015-11-11 18:51 수정 2015-11-11 21:46

올해 구조조정 칼날 위에 서게 될 중소기업이 175개로 집계됐다. 정부가 한계기업 정리에 박차를 가하면서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구조조정 리스트에 가장 많은 기업이 올랐다. 금융감독원은 11일 중소기업 정기 신용위험평가 결과를 발표했다. 부실 징후를 보이는 기업은 175개로 이 가운데 경영정상화 가능성이 있는 C등급은 70곳, 가능성이 없는 D등급은 105곳으로 평가됐다. 지난해보다 부실징후기업이 50개 늘었다.

금감원 조성목 선임국장은 “경기침체가 계속되면서 경영실적 악화로 평가대상 기업이 많아졌고, 채권은행들이 선제적인 기업 구조조정을 추진하기 위해 엄격한 평가를 진행하면서 부실징후기업이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2009년부터 금감원은 중소기업 정기 신용위험평가를 하고 있다. 총 신용공여 500억원 미만, 개별은행 50억원 이상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재무구조가 취약한 기업을 선정한다. 3년간 영업현금흐름 적자, 이자보상배율 1 미만인 취약기업을 3개월간 세부적으로 평가해 구조조정 대상(C·D등급)을 최종 확정한다.

특히 올해는 기준을 좀 더 엄격히 했다. 연초 은행권과 협의해 부실기업이 많이 속한 취약업종 12개를 정했다. 도매업·부동산·숙박·오락 및 레저서비스업 등 취약업종에 대해선 적자 평가 기준을 3년에서 2년 연속으로 낮춰 잡았다.

175개 구조조정 대상 가운데 취약업종이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 제조업(76→105개)과 비제조업(49→70개)이 고르게 증가했고, 구체적으로 보면 식료품, 전자부품, 자동차, 운수업, 도소매업 등에서 전년보다 구조조정 기업이 늘었다.

구조조정은 이달부터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 C, D등급을 받은 기업에는 지난달 이미 해당 사실이 통보됐다. 워크아웃 대상인 C등급 기업은 대주주 증자, 자산매각 등 기업의 자구노력을 바탕으로 채권은행 금융지원을 더해 경영정상화를 도울 계획이다. 만약 해당 기업이 워크아웃을 거부할 경우 채권은행은 신규 여신을 중단하거나 만기 도래 여신을 회수하는 등 조치를 취하게 된다. D등급 기업에 대해선 금융지원 없이 자체 정상화를 추진하거나 법원의 기업회생절차 신청을 유도할 방침이다.

이번 평가에 따라 은행권은 구조조정 추진을 위해 약 4505억원의 대손충당금을 추가로 적립하게 됐다. 9월 말 현재 구조조정 대상 기업에 대한 금융권의 신용공여액은 총 2조2204억원이다.

금감원은 채권은행 현장점검을 통해 등급평가의 적정성 등을 확인할 예정이다. 채권은행은 대출해준 기업이 구조조정에 들어갈 경우 건전성이 악화되고 대손충당금을 더 쌓아야 하기 때문에 기업 구조조정에 소극적이었다. 이 때문에 금감원은 앞서 신용위험등급 평가를 엄격하게 하라고 은행들에 압박했다.

대기업 신용위험평가 결과도 다음 달 공개된다. 올 상반기 정기 신용위험평가에서 35곳을 솎아냈지만 중국 경기 침체, 미국 금리 인상 등으로 추가 부실 우려가 나오면서 현재 수시 신용위험평가를 진행 중이다.

박은애 기자 limitles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