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공항’ 들뜬 제주, 준비작업 척척… 성산읍 전지역 107.8㎢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

입력 2015-11-11 19:59
원희룡 제주도지사(오른쪽 다섯 번째) 등 도청 직원들이 11일 도청에서 ‘공항확충지원 종합대책본부’ 현판식을 갖고 있다. 제주도 제공

서귀포시 신산·온평리 일대에 공항 건설 계획이 확정되자 제주도가 ‘제2공항 건설’ 추진을 위한 본격적인 준비작업에 착수하는 등 현지의 움직임이 분주해지고 있다.

제주도는 정부의 공항인프라 확충 계획 발표에 따라 11일 오전 후속조치 및 지원협력체제 구축을 위한 전담기구인 ‘공항확충지원 종합대책본부’를 구성, 현판식을 갖고 본격적인 업무에 돌입했다고 밝혔다.

종합대책본부는 제주 공항인프라 확충사업 전반을 지휘하고 국책사업 추진에 따른 각종 행정적 절차이행과 도민공감대 확산 등 도내외 역량 결집에 나서게 된다. 도지사를 본부장으로 실·국장들이 전면 배치됐다. 기획총괄반·도민공감대 형성반·개발사업지원반·언론홍보반·대외협력반 등 5개 추진반으로 구성·운영된다.

제주도는 개발지역 주변 토지가격이 상승 조짐을 보임에 따라 부동산 투기 차단 및 지가급등 억제를 위해 10일 도시계획위원회를 열고 성산읍 전 지역(107.8㎢)을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했다.

당초 제2공항 부지에 포함된 성산읍 5개 마을(68.5㎢)만 지정하려 했지만 형평성을 이유로 성산읍 전 지역(107.8㎢)까지 확대했다. 허가구역 지정기간은 3년이며 오는 15일부터 2018년 11월 14일까지다. 도는 토지거래허가구역에 대해 지속적으로 부동산 거래동향을 모니터링하고 투기 조짐에 즉각 대처키로 했다.

하지만 이비 주변 땅값이 크게 오르는 등 부동산 시장이 과열됐다는 지적도 나온다.

공항후보지 건설발표 이전부터 성산읍 신산리를 비롯해 구좌읍 김녕리, 대정읍 신도리 등 후보지 주변 땅값은 이미 크게 오른 상태다. 일부 지역의 농지와 임야는 3.3㎡당 3∼4배 정도로 뛰어오른 것으로 전해졌다. 부동산 업체 한 관계자는 “외부에서 제주도로 순유입 되는 인구가 늘어나면서 땅값이 지속적으로 오르고 있었다”면서 “신공항이 들어서면 엄청난 개발 바람이 불 것”이라고 말했다

주민들의 반응도 엇갈리고 있다.

제주시 구좌읍 주민 윤모씨(49)는 “제2공항 건설이 제주지역 발전에 큰 기여를 할 것으로 생각된다”며 “공항 건설이 이곳 마을의 농촌다움, 제주다움을 간직한 채 성공적으로 이뤄지길 희망한다”고 환영했다.

반면 신산리 주민 양모씨(58)는 “우리 마을에 공항이 생기면 너무 많은 변화가 생기고, 심각한 갈등이 빚어질까 걱정이 앞선다”고 말했다. 온평리 마을 김모(65)씨는 “자칫 서귀포 강정마을 보다 주민갈등이 더 심각해지는 건 아닌지 모르겠다”며 “도시생활에서 벗어나 조용한 곳에서 살려고 이곳에 왔는데 다시 돌아가야 할 것 같다”고 말했다.

제주=주미령 기자 lalijo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