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 朴 대통령의 ‘진실한 사람들 ’ 발언 놓고 해석분분… 사실상 ‘친박 총동원령’ 분석

입력 2015-11-11 21:15
박근혜 대통령이 11일 청와대에서 제11차 사회보장위원회를 주재하며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서영희 기자

박근혜 대통령이 내년 총선을 겨냥해 “진실한 사람들만 선택받을 수 있도록 해 달라”고 한 발언을 놓고 해석이 무성하다. 박 대통령이 총선에서 국민 선택을 받아야 할 적임자에 대한 사실상의 ‘가이드라인’을 제시한 것으로 보는 해석이 지배적이다. 특히 정치권은 박 대통령이 지난 6월 “배신의 정치를 반드시 심판해 달라”고 한 데 이어 5개월 만에 “진실한 사람들만 선택해 달라”고 직접 역설한 배경을 놓고 설왕설래하는 모양새다.

청와대 관계자는 11일 박 대통령의 ‘진실한 사람들’ 언급에 대해 “민생과 국민을 위해 소신 있게 나서야 한다는 대통령 말씀 그대로 받아들여야 한다”고 말했다. 여야는 물론 여당 내의 친박(친박근혜) 비박(비박근혜) 등 계파를 가르는 게 아니라 ‘국민’과 ‘민생’ 두 가지를 중심에 놓고 있는 정치인을 총칭한다는 뜻이다.

그러나 여권 관계자는 “당내 대표적인 친박 의원들, 내각에 남아 있는 정치인 출신 장관, 전직 청와대 인사들에게 전면에 나서 달라는 뜻 아니겠느냐”고 했다. 사실상의 ‘친박 총동원령’이라는 얘기다.

박 대통령은 취임 이후 줄곧 정치권에 강한 불신을 표현해 왔다. 취임 직후엔 정부조직이 제때 출범하지 않아 한 달 가까이 흘려보냈고, 이후에도 자신이 중점적으로 추진해온 경제활성화 관련 법안이 국회에 장기 계류돼 통과되지 못하고 있다. 10일 청와대 국무회의에서 여야 정치권을 싸잡아 강도 높게 비판한 것은 이런 연장선상에서 나왔다는 분석이다. 결국 정치공학에 따라 철저히 움직이는 기성 정치권으로는 ‘국민을 위한 정치’를 할 수 없다는 게 박 대통령의 생각이라는 의미다.

그런 측면에서 본다면 ‘진실한 사람들’은 결국 박 대통령과 국정철학을 공유하는 인사일 수밖에 없다. 박근혜정부 내각과 청와대에서 호흡을 함께하면서 자신이 원하는 정책을 그대로 반영시킬 수 있는 인사들을 국민이 직접 선택해 달라는 것이다.

이날도 박 대통령은 청와대에서 제11차 사회보장위원회 회의를 주재한 자리에서 “은혜를 잊지 않는 것은 바로 은혜를 갚는 것”이라고 말했다. 6·25전쟁 벨기에 참전용사로부터 들은 얘기를 소개하며 나온 발언이지만, 과거부터 무엇보다 ‘배신’을 싫어했던 박 대통령의 속내가 묻어 있는 것 아니냐는 시각도 존재한다. 박 대통령은 지난 2007년 출간한 자서전 ‘절망은 나를 단련시키고 희망은 나를 움직인다’에서 “사람이 사람을 배신하는 일만큼 슬프고 흉한 일도 없을 것”이라고 했을 정도로 배신에 대해 뿌리 깊은 부정적 인식을 가지고 있다.

남혁상 기자 hsna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