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 신공항 건설 논의가 25년 만에 마무리됐다. 제주도를 찾는 국내외 관광객이 늘어나면서 지금의 제주국제공항만으로는 급증하는 항공 수요를 더 이상 감당할 수 없는 상황이다. 소음 등 주민 피해와 부동산 가격 상승 같은 난제도 제2공항 완공 때까지 풀어야 한다.
◇항공 수요 폭발=제주도에 새로운 공항을 만들어야 한다는 논의는 1990년부터 시작됐다. 국토교통부의 ‘제주권 신국제공항 개발 타당성 조사’가 정부 차원에서 검토한 신공항 건설 논의의 시작이다. 당시에는 제주공항의 수용력이 충분하다는 결론이 나와 논의는 뒤로 밀렸다.
제주 신공항 건설이 다시 주목받기 시작한 것은 2011년이다. 국토부는 그해 ‘제4차 정부 공항개발 중장기 종합계획(2011∼2015) 고시’에서 제주공항의 포화시점을 2025년으로 예측했다. 이듬해 중국인의 무비자 제주도 입국이 허용됐다. 중국 관광객이 폭발적으로 늘었다. 저비용 항공사들의 제주도 취항도 급증했다.
공항은 만원이 됐다. 제주공항 이용객은 2010년에 1572만명이었지만 4년여 만에 47.6% 증가한 2320만명을 기록했다. 제주공항의 수용 능력은 2500만명 정도다. 정부는 당초 2025년으로 예측했던 제주공항 포화시점을 2018년으로 앞당길 수밖에 없었다. 당장 공항 건설을 추진해야만 하는 상황이었던 것이다.
2025년 완공될 제2공항은 전체 4.9㎢(150만평) 규모의 부지에 조성될 예정이다. 지금의 제주공항 부지 3.6㎢(110만평)보다 36% 더 크다. 앞으로 공항 이용객이 늘어날 경우 활주로 1본을 더 확장할 수 있다는 점을 감안했다.
◇주민 피해·부동산 투기 우려=주민 피해를 어떻게 최소화할 것인지가 최대 과제로 남아 있다. 가장 우려되는 문제는 소음이다. 국토부는 제2공항 부지로 검토했던 30개 후보지 중 이번에 결정된 서귀포시 성산읍 신산리 일대가 소음 피해 가능 가구 수가 900여 가구로 다른 후보지보다 상대적으로 적다고 설명했다. 제2공항 부지 결정 용역 연구를 총괄했던 김병종 한국항공대 교수는 “제2공항 주변 피해 지역에 대한 보상액을 산출, 정부 계획에 반영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제2공항이 건설되는 신산리 주변의 제주도 동부 일대에서 부동산 투기 열풍이 불 가능성도 있다. 제주도는 급격한 땅값 상승을 막기 위해 10일 오후 신산리 일대를 토지거래허가 구역으로 지정했다. 지방자치단체의 허가가 있어야만 부동산 거래를 할 수 있도록 규제했다. 부동산 투기를 막는 장치다. 제2공항 부지 보상 절차는 내년 하반기 시작되는 기본계획 수립 절차가 끝나면 경계를 정해 진행될 계획이다.
세종=윤성민 기자
woody@kmib.co.kr
[제주 성산읍에 제2공항] “항공 수요 분산”… 관광 제주 ‘25년 숙원’ 풀었다
입력 2015-11-10 21: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