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가 정부 차원에서 2012년 런던올림픽에 참가한 육상 선수들의 약물사용을 지원한 것으로 드러나 파문이 일고 있다.
영국 일간 가디언 등 외신에 따르면 세계반도핑기구(WADA)는 9일(현지시간) 스위스 제네바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러시아 육상 올림픽 대표팀에 뿌리 깊은 규정위반 행위가 있었으며 러시아 정부가 자국 선수들의 대규모 약물사용을 지원했다”고 발표했다. WADA는 사안의 심각성을 감안, 국제육상경기연맹(IAAF)에 러시아 육상 선수들의 내년 리우올림픽 참가 금지를 권고했다.
WADA는 특히 런던올림픽 여자 육상 800m 금메달리스트 마리아 사비노바(30·사진)와 동메달 리스트 예카테리나 포이스토고바(24)를 비롯한 육상 선수 5명에게 영구 출전금지 명령이 내려져야 한다고 요구했다.
이와 함께 러시아 반도핑기구에 대한 허가 취소도 주문했다. 이 기구의 그리고리 로드첸코프 회장은 국제조사단이 러시아를 방문하기 전 1417건의 도핑 테스트 자료를 파기한 것으로 드러났다.
광범위한 약물 사용에는 러시아 연방보안국(FSB)도 연루된 것으로 조사됐다. 또 당시 IAAF 회장을 맡았던 라민 디악 국제올림픽위원회(IOC) 위원 역시 러시아 선수들의 약물사용을 묵인한 혐의로 프랑스 검찰 수사를 받고 있다고 가디언은 전했다.
러시아 올림픽 대표팀의 약물 스캔들은 지난해 12월 독일 MDR방송의 폭로로 처음 불거졌다. 당시 MDR은 러시아 올림픽 출전 선수들 중 99% 이상이 약물을 사용했으며, 러시아 반도핑기구와 조사연구소, 육상경기연맹이 검사 표본을 고의로 망가뜨리거나 뇌물을 공여하는 등 조직적으로 스캔들에 관여했다고 보도했다. 조효석 기자 promene@kmib.co.kr
2012 런던올림픽 출전 육상 선수, 러시아 정부서 약물사용 지원 파문
입력 2015-11-10 21: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