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만복 전 국정원장은 9일 새누리당 ‘팩스 입당’ 논란과 관련해 “고향인 부산 기장군 사람들로부터 총선 출마 권유를 받고 새누리당 오픈프라이머리(완전국민경선제) 공천에 도전하고자 입당했다”고 밝혔다.
김 전 원장은 ‘국민께 드리는 해명의 글’을 통해 “보수적 시각을 가진 기장군민의 정서를 고려해 입당원서를 냈다”며 “여당 내 누구와도 상의 없이 피선거권 자격 요건을 갖추기 위해 사전 조치를 했던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 전 원장은 10·28재보선 당시 새정치민주연합 지지 발언을 한 데 대해서는 “당 차원이 아닌 개인적 차원의 초청이라고 해서 고향 선배로서 인간적 정리로 응낙한 것”이라고 해명했다. 또 “당시 입당 관련 어떤 연락을 받지 못해 당원이라는 인식 없이 방문했다”면서 “(지난) 5일 신문을 보고서야 입당 사실을 알게 됐다”고 주장했다. 김 전 원장은 새누리당의 공천 룰 결정을 지켜본 뒤 여당 후보로 공천 신청하거나 여의치 않을 경우 무소속 후보로 나설 수도 있다고 밝혔다.
김 전 원장의 해명에 대해 새누리당 신의진 대변인은 “신문을 보고서야 입당된 사실을 알게 됐다는 말은 거짓 해명”이라고 비판했다. 신 대변인은 “지난 8월 31일 14시23분 입당 축하 문자를 발송했다”면서 “9월 10일, 10월 12일 자동이체로 1만원씩 당비 납부도 돼 있고, 본인 소속이 새누리당이라고 한 인물소개 기록도 있다”고 말했다.
새누리당은 김 전 원장의 해당 행위에 대해 중징계 절차를 서두르기로 했다. 유수호 전 의원 빈소를 찾은 김무성 대표는 김 전 원장의 ‘팩스 입당’을 “위장전입”이라고 비유한 뒤 “(김 전 원장은) 내일 제명”이라고 밝혔다.
한장희 기자 jhhan@kmib.co.kr
“고향서 출마 권유 받고 與 입당 입당 사실 모른 채 野 지지 발언”
입력 2015-11-10 00: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