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의장-여야 대표 회동서 선거구 획정 논의] 2+2 실무협상서 접점 도출… 4+4 회동서 담판 매듭짓기로

입력 2015-11-09 21:12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오른쪽)와 문재인 새정치민주연합 대표(왼쪽)가 9일 국회의장실에서 정의화 국회의장과 만나 총선 선거구 획정 문제를 논의하기에 앞서 함께 손을 맞잡고 있다. 이동희 기자

여야가 선거구 획정 문제를 협의하기 위해 원내수석부대표 및 국회 정치개혁특별위원회 양당 간사로 구성된 ‘2+2’ 실무협상 채널을 가동키로 했다. 또 실무협상에서 접점이 마련되는 대로 당 대표와 원내대표까지 참석하는 ‘4+4회동’을 이르면 10일 열어 이 문제를 매듭짓기로 했다.

새누리당 김무성, 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 대표는 9일 오후 정의화 국회의장의 제안으로 국회의장실에서 만나 선거구 획정안 등에 대해 논의했다. 30여분간 대화가 오갔지만 결론을 내리지 못했다.

대신 실무협상에 속도를 내기로 했다. 여야 원내수석부대표와 정개특위 여야 간사가 먼저 만나 입장차를 좁히면 여야 당 대표와 원내대표, 원내수석부대표, 정개특위 간사가 참여하는 ‘4+4회동’으로 담판을 짓기로 했다.

김 대표는 회동 후 기자들과 만나 “실무적으로 어느 정도 좁혀지면 10일 저녁에라도 만나 합의를 보기 위한 노력을 하기로 결정했다”고 말했다. 문 대표도 “시한을 넘기지 않고 반드시 (선거구 획정안 마련을) 해야 한다는 데 인식을 같이했다”며 “선택 방안들이 나오면 ‘4+4회담’ 형식으로 밤을 새워서라도 해보자고 했다”고 전했다.

여야는 비판 여론이 높아지자 서둘러 접점 마련에 나선 것으로 보인다. 법으로 정해진 선거구 획정 시한을 넘겨 막판 졸속 협상으로 게리맨더링(선거구를 특정 정당에 유리하도록 변경하는 것)을 할 것이란 우려가 높아졌기 때문이다.

현역 의원들의 ‘밥그릇 싸움’ 때문에 정치 신인들의 발이 묶여 있다는 비판도 거세다. 정 의장은 회동에 대해 “유권자인 국민에게 도의를 다해야 하고 (획정안의 국회 처리 법정 시한인) 13일 이전에 이 부분(선거구 획정안)을 결정해야 해서 만나게 됐다”고 설명했다.

선거구 획정 문제뿐 아니라 여야의 ‘공천 룰’ 문제도 난항을 겪고 있다. 출전할 ‘링’도 마련되지 않은 데다 ‘싸움의 규칙’도 정해지지 않은 모양새다. 새누리당의 경우 역사 교과서 국정화 문제로 잠복했던 계파 갈등이 공천특별기구 인선을 놓고 재점화할 가능성이 적지 않다. 선거구 조정으로 새로 생기는 지역구에 출마하려는 후보들의 경쟁도 불붙을 전망이다.

새정치연합은 ‘현역 의원 20% 물갈이’ 공천안을 당헌·당규로 확정했으나 논란이 끊이지 않고 있다. 의원 80명이 오픈프라이머리 도입을 논의하기 위한 의원총회 소집을 요구하기도 했다.

김경택 기자 ptyx@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