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기준금리 인상이 임박한 것으로 보인다. 그동안 금리 인상을 가로막았던 중요한 요인의 하나였던 미국의 고용지표가 지난달 기대 이상 호조를 보이면서 12월 금리 인상을 전망하는 관측이 잇따르고 있다. 재닛 옐런 연방준비제도(연준) 의장이 지난 4일 의회에서 이 같은 의지를 강하게 밝힌 데 이어 대부분의 글로벌 투자은행(IB)들도 다음달 15∼16일 열리는 미 연방공개시장위원회에서 금리 인상이 이뤄질 것으로 예상했다.
미 연준의 금리 인상은 예견됐던 상황이고 폭이나 속도가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는 점에서 우리 경제에 치명적 악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이지는 않는다. 금리 인상이 지금까지 늦춰지면서 상당한 완충 능력을 키웠고 무엇보다 경상수지 흑자 규모가 큰 데다 외환보유액 또한 세계 10위권으로 여유가 있는 편이다. 외국인 자금 유출에 대비할 만한 경제 기초 여건이 어느 정도 탄탄하다고 할 수 있겠다. 한국은행은 연준의 금리 인상이 단행되더라도 완화적 통화정책을 지속하겠다는 자신감을 드러내기도 했다.
그러나 낙관은 금물이다. 당장 가계빚과 기업의 부실이 부담이다. 통화 당국의 장담과 달리 미국 금리가 오르면 사실상 국내의 금리 인상도 불가피하다. 그럴 경우 이미 임계치를 넘었다는 지적을 받아온 가계빚에 대한 실효성 있는 관리 방안이 시급하다. 상당수 간판급 대기업들조차 신용등급이 줄줄이 하향 조정되는 마당에 일반 기업들의 사정은 더 어려워질 수밖에 없다. 와중에 한계기업 구조조정 여파까지 겹치면 그야말로 악재가 이어질 수 있다.
신흥국으로 인한 여파도 문제다. 이들 나라에서 자본이 급격히 빠져나가는 등 글로벌 금융시장이 출렁일 수 있다. 신흥국과 교역이 많은 우리나라에 미치는 파장이 클 수 밖에없다. 신흥국의 위기가 전이돼 국내에서 자금 이탈이 가속화되는 상황도 염두에 둬야 하는 등 당국의 종합적인 대응이 요구된다.
[사설] 가시권에 들어선 美 금리인상, 대비책 점검할 때
입력 2015-11-09 17: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