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치민주연합이 5일 역사 교과서 국정화 저지 투쟁과 관련해 원내외 병행 투쟁으로 전략을 수정키로 했다. 국회 보이콧 철회 시점을 명시하지는 않았지만 다음주 초부터 국회 의사일정에 참여하는 방안이 유력하다.
새정치연합은 국회의원·지역위원장 연석회의에서 채택한 결의문을 통해 “역사를 왜곡하고 아이들에게 친일·독재 미화 교과서를 가르치려는 박근혜정권에 맞서 국민의 힘을 모으는 것과 함께 국회에서의 투쟁을 통해 예산과 국민을 위한 입법으로 민생을 지켜낼 것”이라고 말했다. 박수현 원내대변인은 연석회의 직후 기자들과 만나 “국회에서 예산 투쟁과 입법 투쟁을 통해 민생을 돌보는 일 역시 매우 중요하다”며 “이제부터는 연말 민생국회, 예산국회에 집중하는 쪽으로 방향을 옮겨질 것이고, 교과서 싸움은 지역위원회를 통해 국민 속으로 더 깊게 들어가는 방식으로 진행될 것”이라고 말했다. 새정치연합은 결의문을 통해 국정화 고시 즉각 철회, 황교안 국무총리 사퇴, 박근혜 대통령의 사과를 요구했다.
문재인 대표는 연석회의 모두발언에서 “우리가 역사 국정 교과서를 반드시 저지해야 하지만, 그 문제에만 매달릴 수 없다. 위기에 빠진 경제·민생을 살려내는 것도 우리 당의 몫”이라며 “정부·여당이 의지가 없는 만큼 경제·민생을 살리는 것도 우리 당이 하지 않으면 안 된다”고 말했다. 이종걸 원내대표도 “민생 문제, 우리는 한 번도 잊은 적 없다”며 “그러나 국회가 중단됐다는 이유로 이렇게 후안무치해진 새누리당의 공격을 이겨내려면 지혜도 필요하다”고 했다.
앞서 의원총회에서는 국회 복귀 시기 등 세부 전략은 지도부에 맡기기로 했다. 또 장기전에 대비해 ‘한국사교과서국정화저지특별위원회’를 최고위원이나 중진이 책임을 맡는 대책기구로 격상시키기로 했다.
새정치연합이 국회 의사일정 정상화 입장을 밝힌 것은 “민생을 외면한다”는 새누리당의 공세를 차단하기 위한 것으로 해석된다. 예산안 심사, 선거구 획정 등 주요 현안이 쌓여 있는 것도 의사일정 거부를 이어가는 데 부담으로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새정치연합은 국회 복귀 시점을 밝히지는 않았다. 이춘석 수석부대표는 “협상은 또 협상대로 해서 바꿀 수 있는 것은 바꾸는 것이지, 무엇까지 받으면 (국회에) 들어가고 못 받으면 못 들어가고 그렇게 연계하는 것은 아니다”고 말했다. 당내에서는 6일로 예정된 국정화 저지 문화제 이후 주말 냉각기를 거쳐 다음주부터는 의사일정을 정상화하는 방안이 유력하다는 전망이 많다.
이런 가운데 정의화 국회의장은 새누리당 원유철, 새정치연합 이종걸 원내대표를 의장 집무실로 불러 국회 정상화를 위해 중재에 나섰지만 일정에 합의하지 못했다.
새정치연합 박수현 원내대변인은 “(오늘은 물론이고) 내일 본회의 가능성은 없다”며 “현재 각 당이 처리하고자 하는 법률안을 놓고 실무적으로 논의해 보고 있으며, 내일 중점 처리 법안에 대한 논의를 진행하게 될 것”이라고 했다.
임성수 고승혁 기자 joylss@kmib.co.kr
[관련기사 보기]
[‘국정화’ 공방] 野, 국정화·국회 ‘투트랙’ 전략… 내주 초 정상화 유력
입력 2015-11-05 22: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