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교과서 일정 발표] 與, “反민생 농성으로 민생 외면 경제 바로잡는데 동참해달라”

입력 2015-11-05 00:54 수정 2015-11-05 01:08
역사 교과서 국정화 고시 이후 여당이 민생 우선론을 전면에 내세우며 총선 체제로 급전환하고 있다. 장외투쟁에 나선 야당을 ‘국정 발목잡기’ 프레임에 가둬 야당 심판론을 부각시킨다는 전략이다.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는 4일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중진의원 연석회의에서 “19대 마지막 정기국회가 종점을 향해 가고 있는데 경제활성화 법안들이 국회를 통과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노동개혁 5대 법안 통과와 노사정 대타협 이후 노사정위의 후속 대안 마련도 촉구했다.

김 대표는 당 싱크탱크인 여의도연구원의 최근 여론조사 결과를 소개하면서 “전 연령과 전 지역에서 ‘국회 활동에 참여하면서 (국정화에) 반대해야 한다’는 의견이 67%로 나왔고, 한·중 자유무역협정(FTA)에 대해서는 64%가 ‘공감한다’고 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국회의원의 직장은 국회인데 직장에 출근하지 않고 무단결근을 계속할 경우 고용주인 국민이 결코 용서하지 않을 것”이라며 야당의 국회 ‘보이콧’을 비판했다.

현장을 직접 방문하는 ‘민생 행보’도 보폭을 넓히고 있다. 당 국가간호간병특위는 이날 경기도 고양시 일산병원을 방문, 병원 직원들의 애로사항을 들었다. 민생119본부는 5일 안산 단원구 지역아동센터 등을 돌아볼 예정이다. 핀테크특위와 금융개혁추진위도 금융산업 변화에 대한 대책 논의를 이어가기로 했다. 김정훈 정책위의장은 “역사는 역사고, 민생은 민생”이라며 “야당은 민생과 경제를 바로잡는 데 동참해 달라”고 했다.

새누리당이 야당을 향한 압박 수위를 높인 데에는 ‘국정 교과서 블랙홀’ 때문에 청년실업 해소와 노동개혁 등 여권의 주요 과제가 차질을 빚을지도 모른다는 우려도 깔려 있다. 원유철 원내대표는 “야당은 반(反)민생적 농성으로 민생을 보이콧하고 있다”며 “농성으로 일자리를 만들 수 없고 피켓으로 법안을 처리할 수 없다”고 했다.

새누리당은 내년 4월 총선을 앞두고 있는 만큼 야당의 국회 의사일정 ‘보이콧’이 장기화될 것으로 보지는 않는 분위기다. 정부의 내년도 예산안 심의 과정에서 지역 민원성 예산을 조금이라도 더 반영하려면 야당이 제 발로 국회에 돌아올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새누리당으로선 내년 총선의 ‘공천룰’을 둘러싼 계파 간 갈등으로 적전 분열이 벌어지는 상황이 우려스럽다. 유기준·유일호 의원에 이어 최경환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등 입각했던 친박(친박근혜)계 의원들이 여의도로 돌아오면 공천 전쟁이 본격화될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한 친박 의원은 “역사 교과서 문제 때문에 공천특별기구 인선이나 공천룰에 대한 문제가 뒤로 밀렸지만 조만간 본격적인 논의가 시작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경택 기자

[관련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