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 대표는 4일 “정부는 정권이 바뀌면 곧바로 사라질 시한부 교과서, 1년짜리 정권 교과서에 대한 집착을 버려야 한다”며 ‘국민 불복종운동’ 동참을 호소했다.
문 대표는 국회 당 대표실에서 가진 ‘역사 국정 교과서 저지, 이제부터 시작’이라는 제목의 대국민 담화문 발표를 통해 국정 교과서를 ‘거짓말 교과서’ ‘편향된 교과서’ ‘나쁜 교과서’ ‘반통일 교과서’ ‘부실 교과서’ ‘면피용 교과서’ 등으로 규정했다. 이어 “교학사 교과서는 친일을 미화·왜곡하고 무려 2122건의 오류가 있었는데, 이를 기준으로 삼겠다는 것 자체가 국민 모독”이라고도 했다. 박근혜 대통령을 향해서는 “압도적 국민 여론을 무시하고 불법 행정을 강행하는 것이 바로 독재”라며 “독재 권력의 전조인 이념 전쟁이 도를 넘어섰다”고 강하게 몰아세웠다.
문 대표는 “고시 강행은 전체주의적 발상으로, 그 자체가 자유민주주의 부정”이라며 “자유민주주의 수호를 위해 국민 불복종운동에 나서 달라”고 촉구했다. 그러면서 “정부와 여당은 확정고시만 하면 끝이라고 착각하고 있지만, 이제 시작일 뿐”이라며 “다른 정당과 정파, 학계와 시민사회가 함께하는 강력한 연대의 틀을 논의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이를 위해 새정치연합은 야권 세력 및 시민사회단체 등과 국정화 저지 공동투쟁 기구를 출범시킬 예정이다.
한편 국회는 교육부 고시 강행 여파로 이틀째 공전했다.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전체회의를 비롯해 5개 상임위 전체회의 및 소위원회가 열릴 예정이었지만 새정치연합의 불참으로 무산됐다. 새정치연합은 사흘째 국회 항의 농성을 이어가는 한편 5일 본회의에도 불참한다는 입장이다.
그러나 새정치연합이 이르면 6일 농성을 풀고 국회 의사일정에 복귀할 가능성도 높아지고 있다. ‘민생 발목잡기’ 역풍 우려와 함께 전면 투쟁에 대한 피로감을 호소하는 목소리가 당내에서 나오기 때문이다. 원내 핵심 관계자는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5일 국회의원·지역위원장 연석회의에서 투쟁 계획이 결정되면 6일부터 국회가 정상화될 수도 있다”며 “늦어도 다음주 초에는 농성과 보이콧을 풀어야 한다는 데 의원들 간 이견이 없다”고 말했다. 대구시당에서 고시 강행 규탄성명을 발표한 안철수 의원은 “임기 중 최대 실책과 실정으로 역사가 기록할 것”이라며 박 대통령을 비판했지만 농성 장기화에 대해서는 “저희들의 의사를 표현하는 방식이지만 언제까지 할 수는 없지 않으냐”며 반대 입장을 밝혔다.
최승욱 문동성 기자 applesu@kmib.co.kr
[관련기사 보기]
[국정교과서 일정 발표] 野, “강력한 시민 연대기구 구성… 국민 불복종 운동 나서달라”
입력 2015-11-04 22: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