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서울, 화재·교통사고 안전 ‘1등급’… 안전처, 지역안전지수 첫 공개

입력 2015-11-04 22:12

경기도와 서울시가 전국 17개 시·도 가운데 화재나 교통사고로부터 가장 안전한 지역으로 나타났다. 경기도는 7개 분야 중 5개가 안전도 최고등급이었고 전남은 4개 분야에서 최하등급을 받았다. 기초단체 중에는 대구 달성군, 경북 울릉군, 충북 증평군 등이 여러 분야에서 최고등급을 받았다.

국민안전처는 4일 이 같은 내용의 전국 지방자치단체 7개 분야 지역안전지수를 처음으로 공개했다.

지역안전지수는 안전에 관한 국가 주요통계를 활용해 지자체 안전수준을 계량화한 것이다. 화재·교통사고·범죄·안전사고·자살·감염병·자연재해 등 7개 분야의 안전도를 사망자수와 발생빈도, 재난 취약 인구, 의료기관수, 인구밀도 등 총 35개 지표로 평가해 산출한 값이다. 1등급은 상위 10%이내, 2등급은 다음 25%, 3등급은 다음 30%, 4등급은 다음 25%, 5등급은 최하위 10%에 해당된다.

특별·광역시 중 화재와 교통사고 분야는 서울시가, 자연재해·범죄·안전사고·자살은 세종시가 1등급을 받았다. 울산시는 감염병 분야가 1등급이었다. 최하인 5등급은 화재·교통사고·감염병 분야는 세종시, 자연재해·범죄는 광주시, 안전사고는 울산시가 각각 받았다.

도 중에는 경기도가 화재·교통·안전사고·자살·감염병 등 5개 분야에서 1등급이었다. 자연재해는 전북이 1등급이었다. 전남은 범죄 분야는 1등급이지만 화재·교통사고·자연재해·감염병 등 4개 분야는 최하등급을 받았다.

시·군·구 중에서는 대구 달성군이 범죄를 제외한 6개 분야에서 1등급을 받았다. 경북 울릉군·충북 증평군은 5개 분야, 서울 송파구·부산 기장군·인천 옹진군·울산 울주군·경기 수원시와 군포시 등은 4개 분야에서 1등급이었다.

대도시의 도심이 상대적으로 안전에 취약성을 보였다. 부산 중구와 광주 동구는 5개 분야에서, 서울 중구와 대구 중구는 4개 분야에서 최하등급을 받았다. 야간 유동인구가 적고 노후 건물이 밀집한 대도시 구도심이 화재와 범죄에 취약한 것으로 풀이된다. 그러나 도심권은 거주 인구가 적고 유동 인구가 많아 평가에서 불리할 수밖에 없다는 지적도 제기됐다.

전국 지자체의 분야별 안전등급은 안전처 홈페이지(www.mpss.go.kr)와 생활안전지도 홈페이지(www.safemap.g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안전처는 지역안전지수 공개로 지자체의 안전에 대한 책임성이 강화될 것으로 기대했다. 실제로 지난 7월 2013년 통계를 활용해 화재와 교통사고 분야 지수를 시범공개한 후 지자체들이 3년간(2016∼2018년) 감축목표를 설정해 추진하는 등 안전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는 것이다. 안전처는 매년 지역안전지수를 산출·공개하고, 지역안전지수 개선 상황을 점검해 우수 지자체에는 소방안전교부세와 재난안전 특별교부세 등 인센티브를 제공할 방침이다.

안전처는 중·하위 등급 지자체들에겐 안전취약요인 정밀진단 및 개선전략을 제시하는 컨설팅도 추진키로 했다. 박인용 안전처 장관은 “지역안전지수 공개가 우리나라의 안전수준을 전반적으로 개선시키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라동철 선임기자 rdchu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