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마당-김준동] 국사편찬위원회

입력 2015-11-04 17:52

국사편찬위원회의 전신은 국사관(國史館)이다. 광복 직후 역사학자 신석호 교수 등은 미 군정청의 협조로 조선총독부 조선사편수회가 소장하고 있던 자료를 인수받는 데 성공했다. 이들 자료를 모아 만든 곳이 바로 국사관이다. 1946년 3월 경복궁 뒤뜰 집경당(緝敬堂)에서 발족됐고, 초대 관장에 신 교수가 선임됐다.

역사 편찬의 중요성을 인식한 이승만정부는 49년 국사관을 국사편찬위원회(국편)로 확대 개편했다. 문교부(현 교육부) 산하였다. 설립 목적은 대한민국 역사 자료를 수집, 정리, 보관하고 가치 있는 사료를 출판해 학자들이 우리나라 역사를 연구하는 데 기여하는 것이다. 그래서 초창기에는 한국사 연구의 기초 자료 간행(조선왕조실록·승정원일기·비변사등록)에 주력했다.

현재 국편은 위원장 1명과 비상임위원 14명으로 구성돼 있고 임기는 3년이다. 직제는 1부1과4실이고 핵심은 편사부다. 편사부는 기획협력실, 사료조사실, 연구편찬정보화실, 역사진흥실 등 4개실을 두고 모든 콘텐츠를 총괄한다. 편제 정원은 85명이고 이 중 연구 인력(연구관·연구사)은 47명이다.

기능이 확대된 때는 73년 역사 교과서가 국정체제로 바뀌면서다. 3차 교육과정(74년)에서 ‘한국사’를 편찬하면서 위상이 높아진 것이다. 이어 87년 경기도 과천에 신청사가 건립되고 위원장이 정무직 차관급으로 격상되면서 조직은 비약적으로 발전했다. 2011년 검인정으로 완전히 전환한 뒤에는 교과서 검정을 승인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중·고교 역사 교과서 국정화로 국편이 다시 전면에 등장했다. 6년 만에 국정 교과서를 편찬하는 막중한 임무를 맡게 된 것이다. 국편 창립 70주년인 내년에 이뤄질 역사 교과서 집필 성패에 따라 대한민국의 통합이냐 분열이냐가 달렸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편향성 논란을 불러일으켰던 예전의 우(愚)를 다시 범해서는 안 될 것이다. 그만큼 국편의 어깨가 무겁다.

김준동 논설위원 jd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