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 정상회담 무산될 뻔… 日 “위안부 문제 빼자” 고집

입력 2015-11-03 22:18
한·일 정상회담이 2일 성사되기에 앞서 양국이 사전 조율 과정에서 팽팽한 줄다리기를 벌였던 것으로 3일 전해졌다.

요미우리신문에 따르면 일본 정부는 정상회담 의제에서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제외하려고 시도했다. 정상회담에 앞서 이뤄진 한국과의 사전 조율에서 일본 측이 입장 차가 큰 위안부 문제는 따로 떼어내 실무 수준에서 협의하자고 타진했다는 것이다. 하지만 이에 한국이 회담 보류를 거론할 정도로 반발했다. 일본 역시 ‘회담을 할 수 없다면 어쩔 수 없다’고 고자세로 나가자 한국이 양보하는 등의 과정을 거치게 됐다고 신문은 전했다.

아울러 일본 정부 내에서는 자신들이 미국과 우호관계를 유지하면서 중국과도 관계를 개선하면 정상회담과 관련한 한국의 완고한 태도가 변할 것이라는 관측이 들어맞았다는 시각도 있었던 것으로 전해졌다.

산케이신문은 한국이 회담에서 아베 신조(安倍晋三) 총리에게 위안부 문제의 타결과 관련해 올해 안으로 시한을 언급할 것을 요구했으나 아베 총리가 이를 수용하지 않았다고 보도했다. 또 사전 협의 때 한국이 아베 총리가 박 대통령과 회담 후 오찬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조건을 걸고 양보를 요구했으나 일본이 거부했다고 신문은 전했다. 아베 총리는 주변에 “점심 따위로 국익을 깎아낼 수는 없다”는 반응을 보였다고 산케이는 덧붙였다.

기시다 후미오 일본 외무상은 정상회담 하루 전날 윤병세 외교부 장관을 만나 위안부 문제의 상징물인 소녀상 문제를 거론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니혼게이자이신문은 일본 정부가 위안부 피해자 지원 사업에 대해 정부 지원금을 연 1억엔(9억4000만원)대로 늘리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전했다. 이종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