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 교과서 국정화 논란은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가 촉발했다. 김 대표는 지난 8월 1일 미국 동포간담회에서 “역사 교과서를 국정 교과서로 바꾸겠다”고 여권에서 처음으로 ‘국정화’를 언급했으며, 이후 확정고시까지 3개월간 ‘역사전쟁’을 주도했다.
김 대표의 행보에는 대권주자로서 입지를 다지겠다는 정치적 계산이 깔려 있다. 측근들 말을 종합하면 김 대표는 보수진영 대표성을 확보할 수 있는 방안을 고민해 왔다. 박근혜 대통령이 강력한 대권주자가 될 수 있었던 것은 대구·경북(TK)이라는 공고한 지역기반과 보수 대표성을 함께 갖췄기 때문이라는 분석에 기초한 고민이었다.
한 측근은 3일 “지역기반(부산) 등 고정 지지층이 박 대통령보다 취약한 김 대표가 보수진영 대표 주자로 자리매김하기 위해 역사 교과서 문제를 들고 나왔고, 이는 박 대통령이 주도한 ‘사학법 개정 무효투쟁’을 벤치마킹한 측면이 크다”고 말했다.
2005년 말 여당인 열린우리당이 사학비리를 바로잡겠다며 사학법 개정을 추진하자, 당시 한나라당(현 새누리당) 대표였던 박 대통령은 무려 6개월간 장외 강경투쟁을 이끌었다. 이를 통해 박 대통령은 ‘여성은 유약하다’ ‘부모의 후광 덕’이라는 이미지를 불식시키며 강성 보수 정치인으로 대중에게 각인됐다.
따라서 김 대표도 보수의 적자(嫡子) 이미지를 굳히기 위해 극단적 이념대립을 불러올 수 있는 역사 교과서 국정화에 ‘올인’했다는 것이다. “사악한 전교조 집단으로부터 선량한 우리 아이들을 구출하자”는 사학법 투쟁 당시 박 대통령의 구호와 “학계를 장악한 좌파 때문에 우리 아이들이 왜곡된 역사를 배우고 있다”는 김 대표의 주장도 맥이 닿아 있다.
한편 김 대표는 이사를 위해 10여년째 살고 있는 여의도 아파트를 매물로 내놨다. 김 대표는 기자들과 만나 “단독주택에 살고 싶은데 여의도에서 제일 가까운 곳 중 저렴한 데가 연희동이라고 해서 알아보고 있다”고 말했다. 이를 두고 여의도의 대형 아파트가 서민적 이미지와는 거리가 멀어 강북에 둥지를 새롭게 틀고 차기 대선행보를 준비하려는 포석이라는 해석도 제기된다.
한장희 기자 jhhan@kmib.co.kr
[관련기사 보기]
[‘국정화’ 확정고시] 역사 올인 김무성… 첨예한 보혁대결 구도로 보수 대표주자 입지 굳혀
입력 2015-11-03 22: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