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화’ 확정고시] 사생결단 문재인… 국정화 대대적 투쟁으로 재보선 책임론 무마 포석

입력 2015-11-03 22:32
3일 열릴 예정이던 국회 본회의가 정부의 역사 교과서 확정고시 발표에 대한 야당의 의사일정 거부로 무산됐다. 국회 본회의장의 새정치민주연합 및 정의당 소속 의원들 좌석이 텅 빈 채 일부 새누리당 의원들만 자리에 앉아 있다. 이동희 기자

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 대표는 교육부 확정고시 이후에도 ‘사생결단(死生決斷)’의 자세로 역사 교과서 국정화 반대 투쟁을 이어간다는 계획이다. ‘제대로 싸우는 야당’ 이미지 구축과 당내 리더십 굳히기는 물론 10·28재보선 이후 산발적으로 제기되는 당내 ‘문재인 책임론’을 무마하겠다는 다중포석이라는 분석이다.

문 대표는 교육부가 집필기준, 집필진 등을 발표할 때마다 이를 적극 쟁점화해 여론전을 강화할 계획이다. 확정고시 이전까지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와 상임위를 정상가동하는 등 ‘역사전쟁’과 민생을 분리한 ‘투 트랙’ 전략이 적중했다고 보고 있다. 문 대표 측 관계자는 3일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국정화에 대한) 압도적 반대여론은 투 트랙 전략의 성과”라며 “앞으로도 교과서 문제는 민생과 분리해 더 강하게 밀고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문 대표는 4일 국정화 반대 대국민 호소문을 발표할 예정이다.

또 ‘국정화 반대 강경투쟁’이 지지자는 물론 당원들에게도 호평을 받는다고 판단하고 있다. 문 대표 측은 내년 총선 출마를 앞둔 원외 지역위원장과 호남 주민들의 반응이 매우 긍정적이라고 전했다. 실제 한 호남 의원은 “최근 정부·여당과 강하게 싸우는 모습이 자주 노출되면서 호남에서 문 대표에 대한 불만이 다소 줄었다”고 말했다.

그러나 비주류 진영을 중심으로 10·28재보선 참패에 대한 ‘문재인 책임론’은 계속 나오고 있다. 문 대표는 재보선 다음 날인 29일 권노갑 상임고문 주선으로 비주류 의원 6명과 만찬을 함께했다. 이 자리에서 의원들은 재보선 패배에 따른 문 대표 사퇴를 요구했지만 문 대표는 “사퇴를 요구하는 사람은 소수”라며 거부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 참석자는 “문 대표가 선거패배에는 거의 신경 쓰지 않는 것 같았다”며 “서로 입장차만 확인한 시간이었다”고 했다. 비주류 의원 모임인 ‘민주당 집권을 위한 모임’은 조만간 재보선 패배에 대한 문 대표의 책임을 요구하는 성명을 발표할 계획이다. 하지만 문 대표 측은 ‘철 지난 이야기’라며 별도 대응을 하지 않겠다는 입장이다.

최승욱 고승혁 기자 applesu@kmib.co.kr

[관련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