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화’ 확정고시] 필진 전원 공개 불투명… ‘밀실 교과서’ 우려

입력 2015-11-03 21:41 수정 2015-11-03 22:17

국정 역사 교과서는 당장 ‘집필진 구성’이란 산을 넘어야 한다. 정부는 ‘투명한 절차’를 강조하면서도 집필진을 전원 공개할지에 대해선 여전히 말을 아끼고 있다. ‘밀실 교과서’란 비판을 피해가기는 어려워 보인다.

교육부는 3일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 방안을 확정고시하면서 국사편찬위원회를 책임기관으로 지정했다. 국편은 필진 구성을 시작으로 이달 말부터 1년간 집필 작업을 진행하게 된다. 집필기준, 편수용어 시안, 필진 구성, 편찬기준에 대한 세부 내용을 4일 발표한다. 20∼40명 규모의 집필진은 위촉과 공모 방식으로 꾸려질 전망이다. 황우여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검정 교과서 집필진의 2배 이상이 투입될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주요 대학 역사학과 교수와 대표적 역사학회가 모두 불참을 선언해 전문가 인력을 충분히 모으기 어려우리란 지적이 끊이지 않고 있다. 그동안 권희영 한국학중앙연구원 교수, 신형식 이화여대 사학과 명예교수, 손승철 강원대 사학과 교수 등이 필진 후보로 거론돼 왔다. 진재관 국사편찬위원회 편사부장은 “물망에 오른 후보 중 일부가 집필에 참여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앞서 교육부는 정치·경제·문화 등 여러 분야의 전문가를 등용하겠다고 밝혔다. 역사학자의 빈자리를 다른 분야 전문가가 채우게 될 가능성이 높다.

집필진 전원이 공개될지는 불투명하다. 황 부총리는 공개 원칙을 거듭 밝히면서도 “5, 6명 대표 필진을 공개하겠다”거나 “세부사항은 국편이 전담한다”며 선을 그어왔다. 이영 교육부 차관은 투명성과 집필진 의사 중 무엇이 우선이냐는 질문에 “모든 필자를 공개하면 필자들이 집중하기 힘든 상황이 생길 수 있어 보완하는 형태를 취할 수밖에 없다”고 답했다.

한편 교육부는 서울과 세종 두 곳에 나뉘어 근무하며 ‘비밀 태스크포스(TF)’ 논란을 빚은 역사교육지원팀을 ‘역사교육추진단’으로 개편해 공식화하는 방안을 행정자치부와 협의하고 있다고 밝혔다. 서울 혜화동 국립국제교육원에 임시로 마련한 사무실을 폐쇄하고 새 조직은 정부세종청사에 꾸릴 예정이다.

전수민 기자 suminism@kmib.co.kr

[관련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