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스바겐그룹의 배출가스 배출 장치 소프트웨어 조작 사태가 확산되고 있다. 미국 환경보호청(EPA)은 2일(현지시간) 폭스바겐그룹의 3000㏄급 디젤엔진도 배출가스 조작 소프트웨어가 장착됐다고 발표했다. 우리나라 환경부도 의혹이 제기된 3000㏄급 디젤엔진 관련 차종에 대한 추가조사에 착수할 방침이다.
EPA가 공개한 조작 소프트웨어가 장착된 엔진은 3.0ℓ V6 디젤엔진으로 2014년형 폭스바겐 투아렉, 2015년형 포르쉐 카이엔, 2016년형 아우디 A6 콰트로, A7 콰트로, A8, Q5 등에 장착돼 있다. 이들 차량은 미국에서 1만대 정도 판매됐다. 특히 프리미엄 브랜드인 포르쉐 차량에 조작 소프트웨어 설치 의혹이 제기된 것은 처음이다.
폭스바겐그룹은 이를 부인했다. 폭스바겐그룹은 성명을 통해 “3.0ℓ V6 엔진에는 금지된 방식으로 배출가스 특성을 변경시키는 소프트웨어가 장착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폭스바겐그룹은 “이 문제를 확실하게 규명하기 위해 미 환경보호청에 모든 협조를 다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우리 환경부는 EPA가 문제를 제기한 만큼 관련 차종에 대해 국내 검증 방침을 밝혔다. 환경부 관계자는 “현재 진행 중인 폭스바겐 2000㏄급 7차종에 대한 1차 조사가 이달 중순 완료된다”며 “1차 조사 후 조사범위를 확대할 계획이며, 새로운 조사대상에는 의혹이 제기된 3000cc급 차량도 포함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EPA가 조작 차량이라고 지목한 포르쉐 카이엔 디젤 모델은 1억원 안팎의 가격에도 불구하고 국내에서 1∼9월 1000여대가 판매됐다. 아우디 A6 콰트로 모델 역시 1∼9월 3800여대가 팔릴 정도로 인기 차종이다. 현재까지 폭스바겐그룹이 배출가스 장치 조작을 인정한 것은 2009∼2015년형 2000㏄급 이하 모델이다. 전 세계적으로 1100만대 정도이며 국내 리콜 대상은 28개 차종 12만5522대다. 하지만 EPA의 주장이 사실로 확인될 경우 리콜 확대는 물론 해당 차량 소유주들의 반발도 확대될 수 있다.
남도영 기자 dynam@kmib.co.kr
포르쉐 너마저?… EPA“폭스바겐 3000㏄급 디젤엔진도 배출가스 조작”
입력 2015-11-03 21: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