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는 정부의 3일 중·고교 역사 교과서 국정화 확정고시 발표 이후 공식 입장을 내지 않고 상황을 예의주시했다.
박근혜 대통령도 별다른 공식 일정을 잡지 않았다. 오전 청와대 참모들로부터 정부의 교과서 국정화 고시 관련 상황을 보고받은 뒤 차질 없는 이행을 주문한 것으로 알려졌다.
박 대통령은 지난달 31일부터 사흘 연속 한·중, 한·중·일, 한·일 정상회담을 잇따라 갖는 등 동북아 협력, 한·일 관계 개선의 물꼬를 튼 직후부터 다시 국정 구상에 몰두했다. 박 대통령은 앞으로 교과서 국정화 문제에 대해 공개적인 언급을 가급적 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이미 지난달 3차례나 공개적으로 역사 교과서 국정화에 대한 흔들림 없는 원칙을 천명한 만큼 더 이상의 발언은 불필요하다는 판단 때문이다.
박 대통령은 이미 역사 교과서 발행체제 개편을 ‘미래세대를 위한 역사교육의 정상화’ 차원으로 보고 강력 추진하겠다는 의지를 수차례 보였다. 국민의 자긍심과 자부심을 고취하고, 이념 편향 논란에서 자유로운 균형잡힌 교과서 개발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것이다.
청와대 관계자는 “대통령이 수석비서관회의나 여야 지도부 회동을 통해 이미 국정화에 대해 강한 의지를 보였고, 특히 국회 시정연설을 통해 국민을 상대로 충분한 말을 한 상황”이라며 “그런 만큼 이 문제에 대해 당분간 추가로 덧붙일 말은 없을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청와대 참모들 역시 국정화 문제에 대해 청와대가 전면에 나설 필요는 없다는 입장이다. 박 대통령이 수차례 공개적으로 강력한 교과서 국정화 의지를 천명했는데 참모들이 별도로 나서서 말을 보탤 필요는 없다는 것이다.
박 대통령은 당분간 여야 정치권에서 계속 불거지는 교과서 국정화 논란에 거리를 두면서 노동개혁 등 4대 개혁 과제 이행, 경제 활성화 등에 진력할 방침이다.
남혁상 기자 hsnam@kmib.co.kr
[관련기사 보기]
[‘국정화’ 확정고시] ‘침묵의 靑’… ‘朴 대통령 이미 원칙 천명’ 더 이상의 발언 불필요 판단
입력 2015-11-03 22:28 수정 2015-11-03 22: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