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행땐 본회의 보이콧”… 野, 국회서 철야농성”

입력 2015-11-02 22:39 수정 2015-11-02 23:58
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여당 간사인 신성범 새누리당 의원(오른쪽)이 2일 같은 당 문대성 의원과 함께 정부세종청사 앞에서 교육부에 제출할 여당 지도부의 역사 교과서 국정화 찬성 의견서를 들어 보이고 있다.연합뉴스
문재인 새정치민주연합 대표가 2일 국회 본청 앞에서 열린 ‘역사 교과서 국정화 반대 국민의견 전달 성명서 발표식’에서 반대 서명지를 우편함에 넣고 있다. 오른쪽부터 주승용 최고위원, 문 대표, 이종걸 원내대표.이동희 기자
새정치민주연합은 2일 정부의 중·고교 역사 교과서 국정화의 확정고시 강행 방침에 반발해 국회에서 항의농성에 돌입했다.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도 국정 교과서 예비비 사용 문제를 두고 파행을 거듭했다. 야당은 3일 본회의를 보이콧하기로 하는 등 정기국회가 급속도로 경색될 전망이다.

문재인 대표 등 지도부와 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소속 의원들은 국회 본청 로텐더홀에서 철야농성을 벌였다. 문 대표는 이 자리에서 “만약 박근혜정부가 역사 교과서 고시를 강행한다면 그것은 국민들을 상대로 전쟁을 하겠다는 선전포고로 볼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새정치연합이 국회에서 농성을 한 건 세월호법 제정을 둘러싸고 여야가 대치하던 지난해 8월 이후 처음이다. 당 지도부는 교육부가 고시를 강행할 경우 3일 오전 열기로 합의했던 본회의를 보이콧하는 쪽으로 가닥을 잡았다.

국회 예결특위 경제 분야 정책질의는 역사 교과서 국정화 관련 예비비 편성 자료제출 여부를 놓고 격돌하며 회의가 중단됐다. 최경환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헌법과 국가재정법에서 정한 삼권분립 정신에 위배된다”며 자료 제출을 거부했다. 야당 의원들은 과거 제출 사례가 있다며 “최 부총리가 거짓 답변을 했다”고 반발했다. 결국 최 부총리는 “주무부처인 교육부와 지속적으로 협의해 자료 제출이 원만하게 되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며 한 발 물러섰다.

장외 공방도 더욱 가열됐다.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는 최고위원회의에서 “민생과 경제를 챙겨야 할 정치권으로 역사 교과서 문제를 더 이상 끌고 와선 안 된다”고 했다. 반면 새정치연합 문 대표는 “헌법소원을 비롯한 법적 수단과 함께 집필거부 운동, 대안 교과서 운동을 비롯한 불복운동을 계속해 나가겠다”고 했다.

임성수 전웅빈 기자 joyls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