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 정상회담] 아베 “남중국해 문제 韓·美·日 연대하고 싶다”

입력 2015-11-02 22:29
박근혜 대통령이 2일 청와대 본관 입구에서 밝은 표정으로 아베 신조 일본 총리를 한·일 정상회담장으로 안내하고 있다. 일본군 위안부 등 과거사 인식 문제로 갈등을 빚었던 두 정상으로서는 이번 정상회담이 취임 후 처음이다. 한·일 정상회담이 재개된 것도 2012년 5월 이후 3년6개월 만이다. 서영희 기자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가 2일 박근혜 대통령과의 정상회담에서 남중국해 문제와 관련한 한국·미국·일본의 공동 대응을 거론한 것으로 전해졌다. 일본군 위안부 문제 등으로 코너에 몰리자 다른 이슈로 반격에 나섰다는 분석이다.

하기우다 고이치 관방부(副)장관은 기자 브리핑에서 “아베 총리가 회담에서 남중국해 문제에 관해 ‘열려 있고 자유로운 바다를 지키도록 한국이나 미국과 연대하고 싶다’고 말했다”고 설명했다. 아베 총리는 이어 “현상(現狀)은 국제사회 공통의 우려 사항이다. (중국이 조성한 인공섬 주변에 함선을 파견한) 미군의 행동은 국제법에 합치하는 것”이라고 덧붙인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박 대통령은 “남중국해 지역은 우리 수출 물동량의 30%, 수입 에너지의 90%가 통과하는 중요한 해상 교통로로서 우리의 이해관계가 큰 지역”이라며 “이에 따라 동지역에서의 항행과 상공 비행의 자유가 보장돼야 한다”고 밝혔다. 또 “분쟁은 관련 합의와 국제적으로 확립된 규범에 따라 평화적으로 해결돼야 하며, 남중국해 지역의 평화와 안정에 영향을 미치는 행동을 자제할 것을 국제회의 등 여러 계기를 통해 촉구해오고 있다”고 강조했다.

아베 총리는 또 박 대통령의 명예를 훼손한 혐의로 한국에서 기소된 가토 다쓰야 산케이신문 전 서울지국장의 재판 문제도 거론한 것으로 알려졌다. 첨예한 국가적 외교 현안을 다루는 자리에서 명예훼손의 피해 당사자인 박 대통령에게 이를 거론한 것 자체가 외교적 결례라는 지적이 나온다.

아베 총리는 아울러 후쿠시마 원전 사고의 영향을 우려해 한국이 단행한 일본 8개현 수산물 수입금지에 관해 적절히 대응해달라는 뜻을 표명했다. 또 일제 강점기 징용 한국인 노동자들이 일본 기업을 상대로 진행 중인 손해배상 소송에 대해서도 일본 정부의 입장을 전달했다.

두 정상은 아울러 북한 비핵화를 위한 행동을 끌어내도록 한·미·일 3국이 연대하자는 방침을 확인했으며 북한에 의한 일본인 납치 문제 해결을 위해서도 협력하기로 했다.

아베 총리는 회담 뒤 자국 기자들을 만나 “주장할 것은 다 했다”고 강조했다.

이종선 기자 remember@kmib.co.kr

[관련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