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3D프린팅으로 만든 바이오 장기, 진단·치료 일체형 내시경, 정밀 수술 로봇 등 미래 유망 의료기기 분야를 개발 단계부터 시장 진입, 판로 확대까지 집중 지원키로 했다.
미래창조과학부 산업통상자원부 보건복지부 식품의약품안전처 등 4개 부처는 이 같은 내용의 ‘바이오 미래전략2(의료기기)’를 2일 발표했다. 태동기인 ICT 융합 의료기기 시장을 선점하기 위해 미래부와 산업부가 연구·개발(R&D), 복지부와 식약처가 임상시험 및 인허가 지원에 나서기로 했다.
지난해 38%인 시장점유율을 2020년까지 45%로 끌어올려 세계 7대 의료기기 강국이 되겠다는 계획이다. 의료기기 수출 기업도 2020년까지 1000개로 늘리기로 했다. 이를 위해 관련 예산을 올해 1043억원에서 내년 1162억원으로 늘렸다.
의료기관에서 쓰이는 ICT 융합 의료기기의 경우 특히 풍부한 임상경험을 갖춘 병원 참여가 필수적이다. 따라서 병원이 주도적으로 개발해야 할 필요가 있는 일부 연구과제에는 ‘의료기기 개발 자회사’를 설립해 참여하도록 추진키로 했다.
산업교육진흥 및 산학협력촉진법, 복지부 가이드라인 등 현행법상 허용된 제도를 활용하면 병원(대학병원, 특수법인병원, 의료법인 등)도 자회사를 세울 수 있다. 다만 연구 목적의 자회사이기에 창출된 수익은 R&D 등에 재투자해야 한다.
정부는 또 식약처의 신속 제품화 지원사업을 통해 인허가 컨설팅을 지원하고, 중개임상시험지원센터를 늘려 개발된 제품이 시장에 조기 진입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민태원 기자 twmin@kmib.co.kr
3D 프린팅 바이오장기 개발 지원… 정부, 판로 확대까지 돕기로
입력 2015-11-02 2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