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 관계 어떻게 진행돼왔나… ‘과거사 갈등’ 2000년대까지 부침 반복

입력 2015-11-02 22:35 수정 2015-11-03 17:14
한·일 양국은 1965년 수교 이래 이웃 국가로서 긴밀한 관계를 맺어왔다. 하지만 독도를 둘러싼 영토분쟁과 과거사 인식, 일본군 위안부 문제 등이 항상 걸림돌로 작용했다. 동북아 지역에서 경제 교류가 활발해지는 동안에도 정치·안보 문제에서는 갈등의 골이 깊어지는 이른바 ‘아시아 패러독스’ 또한 한·일 관계의 특수성에서 상당부분 기인한다.

2000년대까지 부침을 거듭하던 한·일 관계가 냉탕 일변도로 치달은 건 비교적 최근의 일이다. 2011년 12월 당시 이명박 대통령과 노다 요시히코(野田佳彦) 일본 총리는 한·일 정상회담에서 위안부 문제를 둘러싸고 정면충돌했다. 이 전 대통령이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한 조치를 요구했지만, 노다 전 총리는 “(한·일 청구권협정으로) 이미 법적으로 해결된 문제”라고 한 것이다.

이듬해 8월 10일 이 전 대통령은 한국 정상으로는 처음으로 독도를 방문하는 강수를 뒀다. 일본 측은 무토 마사토시(武藤正敏) 주한 일본대사를 본국으로 소환하는 등 강경 대응했다. 나흘 뒤인 8월 14일 이 전 대통령은 교사 워크숍에서 “(일왕이) 한국을 방문하고 싶으면 독립운동을 하다 돌아가신 분들을 찾아가서 진심으로 사과하면 좋겠다”고 말해 양국 관계는 파국을 맞았다. 일본 국민들의 반한 감정이 치솟은 것도 이때다.

2013년 박근혜정부 출범 이후에도 양국 관계는 회복되지 않았다. 비슷한 시기에 집권한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가 ‘역사 수정주의’를 내세우며 우경화 발언을 서슴지 않자, 박 대통령이 ‘원칙론’으로 맞섰기 때문이다. 2013년 4월 아소 다로(麻生太郞) 일본 부총리 겸 재무상이 야스쿠니(靖國)신사를 참배했으며, 우리 측은 항의 차원에서 윤병세 외교부 장관의 방일 일정을 전면 취소했다. 지난해에는 일본 정부가 위안부 동원 책임을 인정한 ‘고노 담화’를 검증하겠다고 나서 파문을 일으켰다.

악화일로로 치닫던 양국 관계는 올해 비로소 반전의 계기를 마련했다. 대(對)중국 전략의 일환으로 한·일 관계 개선이 절실한 미국의 압력도 양국 정상으로선 무시할 수 없었다. 지난 6월 한·일 수교 50주년을 맞아 박 대통령과 아베 총리는 각 대사관에서 열린 기념행사에 교차 참석했다. 한·일 양국은 일본 강제징용시설의 유네스코 문화유산 등재를 놓고 외교전을 벌이기도 했지만, 지난 8월 아베 총리의 전후 70주년 기념 담화(아베 담화)에 대해 박 대통령이 절제된 반응을 내놓으면서 더 이상의 관계 악화는 피했다.

조성은 기자 jse130801@kmib.co.kr

[관련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