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북아 평화’ 3국 협력 복원 선언… 한·중·일 정상회의 ‘공동선언’ 채택

입력 2015-11-01 22:08
한·중·일 정상이 3년반 만에 한 테이블에서 정상회의를 가졌다. 박근혜 대통령이 1일 청와대에서 제6차 한·중·일 정상회의를 갖기에 앞서 3국 국기를 배경으로 리커창 중국 총리(오른쪽), 아베 신조 일본 총리(왼쪽)와 손을 맞잡고 협력을 다짐하고 있다. 청와대사진기자단

박근혜 대통령과 리커창(李克强) 중국 총리,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가 1일 한·중·일 3국 정상회의 정례화를 포함한 동북아 3국 협력의 완전한 복원을 선언했다. 세 정상은 또 ‘역사 직시 및 미래 지향’ 정신에 맞춰 양자 관계 개선 및 3국 협력 강화를 위해 공동 노력하기로 했다. 아울러 한·중·일 3국 자유무역협정(FTA) 타결을 위한 협상도 가속화하기로 했다.

박 대통령과 리 총리, 아베 총리는 이날 청와대 영빈관에서 제6차 한·중·일 정상회의를 갖고 이런 내용을 담은 ‘동북아 평화협력을 위한 공동선언’을 채택했다. 2012년 5월 이후 3년6개월 만에 재개된 3국 정상회의에서 한·중·일 정상이 3국의 동북아 협력 틀 복원에 합의함에 따라 향후 경제협력·문화 교류 분야가 한층 활성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다만 선언문에는 과거사 문제는 구체적으로 명시되지 않았다.

박 대통령은 정상회의 뒤 공동기자회견에서 “우리는 역사를 직시하고 미래를 지향해 나간다는 정신을 바탕으로 지역 평화와 안정을 위해 노력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또 “3국 정상회의를 열고 협력체제를 정상화시킨 것은 동북아 평화와 번영을 위해 큰 걸음을 내디딘 것”이라며 “이번 회의가 3국 교류·협력을 더욱 강화시키고, 3국의 양자 관계 개선에도 기여하는 촉매제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리 총리는 회견에서 “우리는 3국 협력체제가 다시 파장이 생기는 일을 원하지 않고, 양자 및 3자 관계에도 우여곡절이 생기는 것을 바라지 않는다”며 “역사문제를 비롯한 중대 사무에 대한 공동인식은 상호신뢰의 전제조건이며, 3국은 지역 평화와 안정의 책임을 지고 양호한 분위기를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전쟁은 인류 지혜의 실패이고, 평화는 인간의 올바른 길이며, 협력은 국제 발전의 큰 추세”라며 “우리는 앞으로 3국 협력과 양자 관계가 방해받지 않고 순조롭게 발전할 수 있기를 바란다”고 했다.

아베 총리는 “박 대통령, 리 총리와 흉금을 터놓고 지역 평화와 번영을 위하여 솔직한 의견교환을 할 수 있었다”며 “3국이 협력 프로세스를 정상화시킬 수 있었음은 매우 커다란 성과”라고 말했다. 이어 “3국은 지역 평화와 번영, 나아가 국제 안정에 커다란 책임을 공유하고 있다”고 했다.

한·중·일 정상은 이밖에 (핵)비확산협의체·치안협의체·교육장관회의·영사국장회의·고위급 북극협력대화 등 3국 정부 간 협의체 구성에도 합의했다. 또 한국의 ‘창조경제’, 중국의 ‘창신경제’, 일본의 ‘혁신정책’ 간 상호 연계를 위한 3국 정부 협의체도 구성하기로 했다.

남혁상 기자 hsna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