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 정상회담 D-3] 아베의 과거사 발언, 오락가락·애매모호… 이번에는?

입력 2015-10-29 22:23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는 다음달 2일 박근혜 대통령과의 정상회담에서 일본군 위안부 문제 등 과거사와 관련한 어떤 언급을 할까. 아베 총리는 일단 이번 회담에 대해 “박 대통령과 그런 과제(위안부 문제)를 포함해 솔직하게 의견 교환을 하고 싶다”고 말했다. 이 의제에 대한 논의를 피하지 않겠다는 뜻이다.

아베 총리는 과거 첫 번째 총리 재임 시절인 2006년 10월 9일 청와대를 방문, 당시 노무현 대통령과 한·일 정상회담을 한 적이 있다. 이날은 북한이 1차 핵실험을 강행한 당일이다. 따라서 큰 주목을 못 받았지만 당시 아베 총리는 정상회담을 통해 침략전쟁과 식민지배에 사죄를 표명한 무라야마 담화를 그대로 계승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후 기자회견에선 “과거 일본이 아시아 각국 사람들에게 많은 손해와 고통, 커다란 상처를 줬다. 이에 대한 진지한 반성 위에 일본의 전후 60년 역사가 있다”고 했다.

아베 총리의 이번 방한은 2006년 이후 정확하게 9년 만인 셈이다. 하지만 그가 이번 회담에서 위안부 문제 해법을 제시할 가능성은 극히 낮다. 그는 그동안 위안부 문제를 포함한 과거사에 대해 장소, 시기에 따라 말을 수시로 바꿔왔다. 자국 언론, 국민을 상대로는 과거사 문제에 강경하게 대응했지만 일본 의회나 해외 방문 시에는 ‘무라야마 담화에서 나타난 역사인식 계승’ 입장도 밝혀왔던 것이다.

2006년 한·일 정상회담에서 비교적 전향적인 언급을 했던 아베 총리는 다음해인 2007년 3월 과거사를 부인하는 듯한 발언을 했다. 전형적인 보수우익의 입장을 대변한 것이다. 그는 당시 자국 내 기자회견을 통해 “일본이 강제로 위안부 여성들을 끌어들였다는 아무런 증거가 없다”고 말했다.

2007년 9월 첫 번째 총리직을 사퇴하고 2012년 다시 총리에 오른 뒤에도 그의 과거사 관련 발언은 오락가락했다. 아베 총리는 2013년 4월 22∼23일 일본 참의원 예산위원회 관련 모임과 회의에선 “무라야마 담화를 아베 내각이 그대로 계승하는 것은 아니다” “침략의 정의는 국제적으로 정해져 있지 않다”고 했다가 5월 같은 자리에선 “무라야마 담화를 계승해 나갈 것”이라고 했다.

올해에는 비교적 자극적인 발언은 삼갔으나 가해의 주체는 생략한 채 모호한 답변을 내놓았다. 아베 총리는 지난 4월 미국 방문 당시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문제에 대해 “인신매매에 희생당해 고통과 아픔을 겪은 분들을 생각할 때마다 마음이 아프다”고 했다. 8월 전후 70년 담화에선 “일본은 지난 전쟁에서의 행동에 거듭 통절한 반성과 진심어린 사죄의 마음을 표명해 왔다”며 과거형으로 언급했고, 위안부 문제에 대해서도 “전쟁터의 뒤에는 명예와 존엄에 상처를 입은 여성들이 있었다”고 두루뭉술하게 넘어갔다.

남혁상 기자

[관련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