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국회의원 막말·저질발언 그냥 놔둬서는 안 된다

입력 2015-10-29 18:08
역사 교과서 좌편향과 국정화를 둘러싸고 벌어지는 여야 의원들의 막말 시리즈는 도저히 국회의원들의 말이라고는 믿기지 않을 정도다. 취재기자들과 TV카메라가 있는데도 아랑곳하지 않는다. 공개적으로 대놓고 하는 말인데, 보고 듣는 국민들로 하여금 모욕감마저 느끼게 한다. 도대체 저런 사람들을 뭘 보고 뽑아줬는지 찍어준 유권자의 생각이 의심스럽기까지 하다.

새누리당 서청원 최고위원은 야당을 ‘화적떼’에, 국정화 반대 세력을 ‘난신적자’(亂臣賊子·나라를 어지럽히는 신하와 어버이를 해치는 자식)에 비교했다. 새정치민주연합 이종걸 원내대표는 박근혜 대통령을 ‘무속인’에 비유했고, 여당 내 강경 의원들에 대해 ‘친박실성파’라고 비아냥거렸다. 여당 이정현 의원은 예결위에서 “현행 교과서는 어린이들에게 미리 적화통일 교육을 시키겠다는 것”이라고 황당 발언을 했고, 야당 주승용 의원은 “대통령의 독특한 화법 때문에 정신 분열현상까지 경험하게 된다”고 막말을 했다. 새정치민주연합에서는 문재인 대표까지 “X인지 된장인지 먹어봐야 아느냐”고 공개 연설했고, 같은 당 정청래 최고위원도 대통령과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를 김정은 북한 노동당 제1비서와 사형당한 장성택 전 국방위 부위원장에 비유했다.

국회의원들의 막말이 처음은 아니지만 최근의 저질 발언들에는 상대방을 향한 증오가 배어 있다. 갈등 조정 기능을 해야 하는 국회의원들이 오히려 선동하고 흥분하는 꼴이다. 참으로 질 낮은 언동들이다. 막말을 칭찬하는 일부 맹목적인 지지층 유권자들도 반성해야 한다. ‘잘했어’ ‘시원하게 했어’라고 칭찬해주는 사람들이 있으니 의원들이 저러는 것이다. 증오 섞인 막말은 정치를 혐오스럽게 만들 뿐 아니라 정치의 파급력을 감안할 때 사회의 전반적인 수준을 낮추고 신뢰 자본을 갉아먹는다.

국회 윤리특별위원회는 막말이나 증오 발언에 대해 적극 제재할 수 있는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공개적 사과, 한시적 의정활동 금지 등 본인이 창피할 정도로 제재 수위를 높여야 한다. 정당이 막말 내용을 의원 이름과 함께 정기적으로 공개하고, 공천에 불이익을 주며, 지역구 유권자들이 확실히 알 수 있게끔 하는 것도 방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