野 “與, 집필자 명예훼손 사과하라”… 1년2개월 만에 다시 장외집회

입력 2015-10-27 22:43
문재인 새정치민주연합 대표(앞줄 오른쪽 두 번째)가 27일 서울 광화문광장에서 정청래 최고위원(앞줄 오른쪽 세 번째)과 함께 ‘국정 교과서 반대 결의대회’에 참석해 박수를 치고 있다. 이 결의대회는 제1야당이 역사 교과서 국정화 논란이 벌어진 이후 처음 주최하는 장외 집회다. 곽경근 선임기자

지난해 8월 세월호 특별법 제정을 요구하며 대규모 장외 집회에 참가했던 새정치민주연합이 1년2개월 만에 다시 서울 광화문광장으로 나섰다. 촛불을 들고 국민에게 직접 역사 교과서 국정화 저지에 동참해 줄 것을 호소했다. 장외 투쟁이라는 정치적 부담을 감수하고서라도 야권이 국정화 저지 공감대를 확산시키기 위해 총결집하는 모양새다.

◇1년2개월 만의 대규모 장외 집회=새정치연합은 27일 광화문광장에서 시민단체와 함께 ‘국정 교과서 반대 결의대회’란 이름으로 장외 집회를 개최했다. 교과서 국정화에 반대하는 첫 대규모 집회다. 늦가을의 쌀쌀한 날씨에도 불구하고 광장 중앙에 설치된 대형무대를 중심으로 1500여명(새정치연합 추산)의 시민이 모여들었다. 문재인 대표, 이종걸 원내대표 등 국회의원 60여명도 참석했다. 문 대표는 행사 연설에서 “역사 국정 교과서를 반대하는 물결이 갈수록 높아지고 있다”며 “서울 시민들께 직접 호소 드리고자 이렇게 광장에 나왔다”고 외쳤다. 그는 또 “새누리당이 (현 교과서) 집필자들의 명예를 훼손한 것에 대해 무릎 꿇고 사과하고 용서를 빌어야 한다”며 “교육부 비밀 태스크포스(TF)와는 별개로 새누리당은 (화적떼라는) 막말에 대해 사과하고 막말을 한 서청원 최고위원은 물러나야 한다”고 했다. 문 대표는 “내년 총선 때 새누리당을 심판해 달라고 호소하겠다”며 “끝까지 국정화를 막아낼 것”이라고 했다.

집회에 참여한 시민들은 사회를 맡은 박수현 원내대변인의 구호에 맞춰 ‘고시 강행 철회하라’ ‘역사왜곡 중단하라’고 외쳤다. 시민단체는 시민들을 대상으로 국정화 반대 서명을 받고 차량 부착용 홍보 스티커를 배포했다. ‘친일 교과서 반대’라고 쓰인 피켓도 나눠줬다. 집회에 참가한 대학생 김모(21)씨는 “여론조사에서 반대가 높게 나왔는데 청와대가 왜 강행하는지 모르겠다”며 “그걸 강행하면 독재”라고 말했다. 결의대회 직후 이어진 ‘국정화 저지 문화제, 국정화 말고 국정을 부탁해’에는 국정화에 반대하는 문화예술인들이 참석해 공연과 홍보전을 이어갔다.

◇청와대, 교육부에는 총공세…‘불법 감금 프레임’은 경계=장외 집회와 동시에 새정치연합은 국회에서 교육부와 청와대를 상대로 공세 수위를 더욱 높였다. 이 원내대표는 의원총회에서 “(교육부 TF가) 청와대에 직접 보고한 문건들을 확인했다”며 “이로 비춰볼 때 황우여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과 이병기 청와대 비서실장은 국정감사에서 허위 증언을 했다”고 지적했다.

새정치연합은 새누리당이 제기한 ‘불법 감금 프레임’에 말려드는 것을 경계하며 단호하게 대처하는 모습도 보였다. 이 원내대표는 “(새누리당이) 동료 의원들의 적법한 활동을 두고 업무방해와 불법 감금이라면서 법적조치를 요구하고 있다”며 “전날 교육부 실장이 감금이 아니라는 취지로 말했다”고 반박했다.

문동성 고승혁 기자 theMoon@kmib.co.kr

[관련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