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림축산식품부는 소비와 식생활, 농산물 가격·유통, 농촌관광 등을 중심으로 국민의 일상생활에 도움이 되는 정보 공개에 힘을 쏟고 있다. 특히 농업분야 서비스의 사각지대 해소에 노력하고 있다. 농업은 자격요건이 복잡하고 대부분의 농업인이 고령자로 선제적인 정보제공이 필수다. 쌀 직불금의 경우 경작규모, 매출액 등 신청서식이 24종에 달한다. 또 3대 직불금 수급자의 72.3%가 60세 이상 고령자다.
농식품부는 농림 분야 맞춤형 사업 안내서비스를 개발해 이런 애로사항을 해소하고 있다. 우선 농림분야 200개 사업시행지침을 시스템화해서 농업경영체 데이터베이스와 연계하는 사업을 지난해 말 완료했다. 개인 맞춤형 통합서비스는 농식품 기업과 농촌지역 구직자에 특화돼 있다. 이들은 상대적으로 정보가 취약해 정부지원이 필요하다. 우선 농수산식품 기업지원센터를 통해 중소식품기업의 성장발판을 마련했다. 또 경영 및 기술 분야 애로사항에 대한 전화, 방문, 인터넷 상담 등을 통한 원스톱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귀농·귀촌종합센터는 귀농·귀촌을 희망하는 도시민에게 개인별로 최적화된 정보와 교육을 제공하고 있다. 농업마이스터 등 전문가를 통한 작목별 영농정보 등 귀농 실행에 필요한 상담 및 자문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농식품부는 정부와 민간의 연계형 정보공개 서비스를 확대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농촌지역 복지전달체계에 농협 등 민간을 참여시켜 서비스 사각지대를 해소하는 것이다. 농촌주부모임 등 민간의 자발적 참여로 고령 및 취약농가 등에 인력지원을 하는 서비스도 이뤄지고 있다.
[국민과의 행복한 동행 정부 3.0-농림축산식품부] 농식품 기업·농촌 구직자 맞춤형 통합서비스
입력 2015-10-28 19: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