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 “논리 미흡 황우여 경질 마땅… 하지말아야 할 일을 당이 총대”

입력 2015-10-27 22:45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가 27일 박근혜 대통령의 시정연설 직전 국회 본회의장에서 같은 당 소속 의원들과 새정치민주연합 소속 의원들의 ‘A4용지 인쇄물’ 침묵시위에 대한 대책을 숙의하고 있다. 왼쪽부터 조원진 원내수석부대표, 김 대표, 서청원 최고위원. 이동희 기자

한국사 교과서 국정 전환에 한목소리를 내던 여권이 균열 조짐을 보이고 있다. 국정화 추진 주무부처인 교육부 장관의 경질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여당에서 나오고, 당내에선 지도부의 대응 논리가 미흡했다는 비판이 제기되는 등 전선이 흔들리는 모습이다. 초반 팽팽했던 여론이 점차 국정화 반대로 기우는 상황과 무관치 않다는 해석이 나온다.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는 27일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황우여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경질론에 대해 “그런 주장이 나올 만하지 않으냐”고 말했다. 김 대표는 곧바로 “어느 의원이 그런 주장을 했다는데 그런 말도 나올 수 있는 것”이라고도 했다. 경질 여부에 대해 가타부타 입장을 밝히지 않았지만, 황 부총리 책임론에 공감한 것으로 해석됐다. 대통령 정무특보를 지냈던 김재원 의원은 YTN라디오에 출연해 “주무 장관이 너무 나가면 오히려 야당의 반발을 가져올 수 있다는 고려를 하는 것인지는 몰라도 개인적으로 조금 아쉽다는 느낌은 있다”고 했다. 황 부총리에 대한 비판은 초기 대응을 잘못했다는 데 맞춰져 있다. ‘올바른’ 교과서를 만들어야 한다는 명분을 먼저 내세우고, 검인정 강화는 좌파 역사학자들의 카르텔 때문에 어려워 국정화만이 해결책이라는 식으로 일을 추진했어야 하는데 첫 단추를 잘못 꿰었다는 것이다. 야당과 역사학계의 반발에 속수무책이었다는 불만도 있다.

새누리당 내부도 어수선하다. 윤상현 의원은 당 지도부를 겨냥했다. 그는 전날 친박(친박근혜) 주축 모임인 ‘국가경쟁력강화포럼’ 세미나를 마치고 기자들과 만나 “역사 교과서를 국정으로 전환하는 건 헌법 가치의 문제인데, 여론에서 밀린다는 이야기를 들으면 ‘우리가 뭔가 부족하다’는 생각을 공유하고 있는 게 사실”이라고 했다. 반면 비박(비박근혜) 의원들은 “애당초 하지 말았어야 할 일을 정부가 밀어붙이고 애꿎은 당이 총대를 멨다”는 생각이 강하다. 이재오 정두언 김용태 박민식 의원은 이미 공개적으로 국정화 반대 목소리를 냈었다. 한 비박계 의원은 “다음달 초 교육부의 확정고시가 나오면 당은 역사 교과서 문제에서 손을 떼고 더 이상 언급하지 말아야 한다”고 했다. 김무성 대표가 역사 교과서 국정 전환 전면에 나선 건 개인의 소신인 동시에 당 내분 수습용이란 의견도 많다.

김 대표는 이날도 부친인 고(故) 김용주 전 전남방직 회장의 친일 논란을 반박했다. 김 대표 측이 배포한 자료에는 김 전 회장이 민족운동을 하다 치안유지법으로 일제에 검거되고 조선인을 위한 학교를 세웠다는 내용의 신문기사가 담겼다. 김 대표는 29일 부친이 설립한 경북 포항 영흥초등학교를 방문한다. 이 학교는 2011년 개교 100주년을 맞아 김 전 회장 흉상 제막식을 열었고 당시 김 대표가 설립자 가족을 대표해 참석했었다. 권지혜 기자 jhk@kmib.co.kr

[관련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