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우여 부총리 “경질론 무겁게 받아들여… 올바른 역사 만들기 최선”

입력 2015-10-27 22:53

황우여(사진)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자신에 대한 경질론이 제기되자 ‘국정화 전선’의 전면에 나섰다. 여권 내부에서 ‘사퇴’ 목소리가 높아질 조짐을 보인 27일 오전 10시54분 교육부 출입기자들에게 문자메시지로 긴급 브리핑을 공지했다. 이어 3시간 뒤인 오후 1시58분 정부서울청사 브리핑룸으로 들어섰다.

황 부총리는 굳은 표정으로 “경질론을 무겁고 겸허하게 받아들여 더욱 매진하겠다”며 사퇴 의지가 없음을 강조했다. 이어 “일을 더 열심히 해야 하는 교육부 장관에 대한 걱정임을 알고 이럴 때일수록 국민이 지켜보는 가운데 올바른 교과서를 만드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를 비롯한 여당 의원들이 꺼낸 ‘황 부총리 책임론’에 대한 대답인 셈이다.

역사 교과서 국정화를 위한 ‘비밀 태스크포스(TF)’ 논란에는 단호하게 선을 그었다. 비밀 조직을 운영하면서 청와대에 보고해 왔다는 의혹도 해명했다. 국정화에 등을 돌리는 여론을 붙잡기 위한 호소도 이어졌다.

황 부총리는 “역사교육지원팀 업무가 증가하면서 12명인 기존 팀원의 일손이 부족해졌다. 인원을 보강해 21명으로 만든 유연한 대처”라고 설명했다. 지난 5일에 TF가 꾸려진 이후 보고를 받았다면서 정식 기구로 만들려면 행정자치부와 협의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런 조치에 절차적 문제가 없었다고 거듭 강조했다. 그는 “열심히 일하는 공무원들을 불법적인 일을 하는 범죄자로 몰아가는 비정상적인 행태를 교육부로서는 용납할 수 없다”고 말했다. 다만 야당 의원들을 공무집행방해나 업무방해 혐의로 고소하는 방안은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했다.

황 부총리는 비밀 TF 논란을 계기로 점차 거세지는 국정화 반대 여론에 대한 우려도 내비쳤다. 그는 “국민이 지켜보고 있고 교과서가 나오면 다 공개된다. 법에 어긋나는 일을 할 수 있는 상황이 아니다”고 말했다. “교육부가 혼신의 힘을 다하고 있으니 밤새워 일하는 공무원들을 믿어 달라”는 호소도 했다.

전수민 기자 suminism@kmib.co.kr

[관련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