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8·25합의’에 따른 이산가족 상봉 행사가 마무리되면서 남북 간 당국 회담 개최 여부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이산가족 상봉과 민간 교류 활성화에 이어 이제 합의사항 중 당국 회담만 남아 있기 때문이다. 남북이 의지를 보이고 있어 이르면 다음 달 개최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2010년 천안함 폭침 사건 이후 남북 간 대화가 단절되다시피 했던 탓에 당국 회담에선 다양한 의제가 논의될 것으로 전망된다. 우선순위로는 이산가족 상봉 정례화 및 전면적 생사확인 문제가 꼽힌다.
박근혜 대통령이 여러 차례 강조했던 부분인 만큼 우리 측의 의지는 확고하다. 북측 역시 여러 현안 가운데 비교적 부담감이 덜한 부분이다. 북한의 전산 시스템 미비 등 세부적인 걸림돌이 없진 않지만 합의만 이뤄진다면 후속 조치는 속도감 있게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
전문가들은 이 과정에서 북한이 금강산 관광 재개를 요청할 개연성이 높다고 본다. 북한은 이산가족 상봉 행사 초기 서울·평양 교차방문 이후 줄곧 상봉 장소로 금강산을 고집하고 있다. 상봉 정례화가 이뤄지면 주기적으로 남측 가족이 금강산을 방문하게 되는데, 이를 금강산 관광 재개의 단초로 활용할 여지가 크다.
반면 우리 정부는 상봉 행사와 금강산 관광을 분리 대응한다는 원칙을 견지하고 있어 견해차가 큰 편이다. 다만 이충복 북한 적십자중앙위원회 위원장이 지난 24일 금강산에서 남측 기자들과 만나 이산가족 문제 진전 의사를, 김관진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이 지난 23일 국회에서 당국 회담·적십자 본회담 개최 의사를 밝혀 당국 회담과 연계된 동시다발적 협의 가능성도 제기된다. 남북이 8·25합의 이행을 강조하는 만큼 이르면 다음달 중 당국 회담이 개최될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한편 통일부 출입 기자단은 북한이 이번 행사 등에서 기자단 노트북 및 촬영 영상 검열을 시도한 데 대해 비판 성명을 발표했다. 기자단은 “북한이 간섭을 통해 남한 언론을 통제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면 큰 오산”이라며 “남한 언론에 대한 부당한 간섭을 즉각 중단하라”고 밝혔다. 미온적 태도로 일관하는 우리 정부에 대해서도 적극적인 대처를 촉구했다.
강준구 기자 eyes@kmib.co.kr
이젠 ‘남북 당국회담’만 남았다… 이르면 내달 중 개최 가능성
입력 2015-10-27 21: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