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日 정상회담 막판 난항… 日 “회담 제안 모르겠다”

입력 2015-10-27 21:35
3년6개월 만에 열릴 것으로 보였던 한·일 정상회담이 막판 난항을 겪고 있다.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의 진의가 한국 요구에는 ‘모르쇠’로 일관하면서 정상회담을 통해 한·일 관계가 개선됐다는 ‘이미지’만 국제사회에 전하려는 ‘치고 빠지기’ 식 꼼수라는 관측마저 나온다.

일본 정부 대변인인 스가 요시히데(菅義偉) 관방장관은 27일 기자회견에서 ‘11월 2일 한·일 정상회담을 하자고 일본 측에 제안했다’는 청와대 관계자의 발언에 대해 “그런 보도를 모른다”고 말했다. 방한 중인 이시카네 기미히로(石兼公博) 일본 외무성 아시아대양주국장 또한 일본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그런 제안을 받은 적 없다”고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런 발언은 위안부 문제 등 현안과 정상회담 일정 조율에서 양국 간 상당한 이견이 있음을 시사한다. 요미우리신문은 한국 측이 아베 총리가 방한 중 위안부 문제에 대해 입장을 표명하라고 요구했으나 일본 측이 난색을 표했으며, 이에 따라 한국 측은 오찬 없이 30여분간 정상회담만 진행하는 일정을 제안했다고 보도했다.

이와 관련, 외교부 당국자는 “(제안을 못 받았다는 건) 말이 안 돼는 얘기”라며 “11월 2일로 제안을 했다면 누가 했겠는가. 왜 그런 답변을 했는지 이상하다”고 했다. 우리 측이 오찬 없는 30분간의 정상회담을 제안했다는 보도에 대해서도 이 당국자는 “외교 당국 간 협의내용을 상세히 밝힐 수는 없지만 사실과 거리가 있다고 보면 된다”고 부인했다.

양국의 온도차와 달리 전문가들은 한·일 정상회담 필요성에 공감하고 있다. 문제는 북핵 문제를 제외하고는 일본군 위안부 문제 등 양국이 거의 모든 현안에서 입장차를 전혀 좁히지 못한다는 점이다. 아베 총리가 위안부 문제를 언급한다면 ‘고노 담화’ 수준에서 입장을 낼 것으로 보이지만 이마저 성사될 가능성은 높지 않다.

이런 가운데 위안부 피해 할머니 측은 일본 정부를 상대로 한국 법원에 정식 손해배상 소송을 내기로 했다. 일본 정부가 위안부 피해 할머니들의 조정신청에 2년 넘게 무대응으로 일관하자 내린 결정이다.조성은 나성원 기자

jse13080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