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어린이집 집단 연가… 보육대란은 오지 않을 듯

입력 2015-10-27 22:22 수정 2015-10-27 22:23
전국 민간어린이집 1만곳이 28일부터 사흘간 연가투쟁에 돌입할 계획이지만 ‘보육대란’은 피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정부의 ‘보육예산 줄이기’에 반발해 집단행동에 나선 민간어린이집 측은 학부모와 아이들의 피해를 최소화하기로 방침을 세웠다.

연가투쟁을 주도하는 한국민간어린이집연합회는 27일 “연가투쟁 시에도 보육교사 3명 중 1명은 근무한다”며 “어린이집에 아이를 맡기지 못하는 경우는 없을 것”이라고 밝혔다. 보건복지부도 “집단휴원은 없는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설득 작업을 계속 하고 있다”고 했다.

연합회는 소속 어린이집 1만4000곳 가운데 약 1만곳이 연가투쟁에 동참할 것으로 보고 있다. 하지만 ‘휴원’은 없다고 설명했다. 보육교사들이 집단적으로 연차휴가를 사용하지만 전체 인원의 3분의 1은 정상 출근해 아이들을 돌볼 예정이다.

연합회는 지난 21일 학부모들에게 안내문을 보내 “양질의 보육을 위한 불가피한 조치”라며 “아이들을 돌볼 수 있는 최소한의 조치는 취하겠다”고 밝혔다. 장진환 연합회 회장은 “아이들의 불편을 최소화하며 집단행동으로 정부에 항의하겠다”고 말했다.

복지부도 아이를 맡기지 못하는 보육대란은 일어나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복지부 관계자는 “혹시 아이를 맡기지 못하게 되면 지역사회 내 다른 기관을 이용해 학부모들과 아이들이 불편하지 않게 하겠다”고 말했다. 또 연가투쟁에서 불법 행위를 통한 휴원 등이 적발될 경우 즉시 시정명령을 내리는 등 강경 대응할 방침이다.

당초 연합회는 26∼30일 집단휴원에 나설 계획이었지만 보육대란 우려가 높아지자 수위를 낮췄다. 복지부도 지난 20일 광역시·도 보육 담당자들과 회의를 여는 등 대책을 고민해 왔다.

연합회 간부진은 26일 복지부 관계자들을 만나 보육료 인상, 하루 8시간 근무, 교사 인건비 지원 등 요구사항을 전달했다. 복지부 관계자는 “보육료 인상안은 국회에서 통과돼야 하는 부분”이라며 “다른 사안은 종합적으로 의견을 수렴해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김판 기자 pa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