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우조선해양 노동조합이 채권단에 자구계획 동의서를 제출함에 따라 대우조선 사태가 고비를 넘기게 됐다.
현시한 대우조선 노조 위원장은 26일 밤 상임집행부회의(상집회의) 직후 낸 긴급발표문을 통해 “대내외적인 조건 등 여러 상황을 검토하고 심사숙고해 동의서를 제출하는 것으로 최종 결정했다”고 밝혔다. 현 위원장은 “7000여 조합원, 5만여 전체 구성원의 생존권을 위해 뼈를 깎는 심정으로 과감한 결단을 내릴 수밖에 없었다”고 동의서 제출 결정 배경을 설명했다.
정부와 채권단은 올해 5조원대 부실이 발생한 대우조선에 4조3000억원 규모의 자금을 공급하는 조건으로 노조에 경영 정상화 때까지 임금 동결, 쟁의활동 금지를 명문화한 동의서를 요구했다.
노조는 그동안 “정부와 채권단의 요구는 헌법에 금지된 노동3권을 포기하라는 초법적인 발상이며, 경영진의 문제가 더 큰 대우조선해양의 부실을 노조에 책임전가하는 것은 곤란하다”고 주장해 왔다. 그러나 주채권은행인 산업은행과 대우조선 경영진의 설득이 계속됐고, 여론도 대우조선 노조에 불리하게 돌아가면서 요구 수용으로 방향이 잡힌 것으로 알려졌다. 산업은행 정용석 구조조정본부장은 지난 23일 경남 거제 옥포조선소에서 노조 관계자들과 만나 “(동의서 제출이) 26일을 넘긴다면 법정관리를 포함한 다른 방안을 모색할 수밖에 없다”고 최후통첩을 한 것으로 알려졌다.
노조가 채권단의 요구를 수용하면서 정부와 채권단의 지원 계획도 조만간 발표될 예정이다. 산업은행과 수출입은행 등 두 국책은행을 중심으로 1조∼2조원의 유상증자와 2조∼3조원의 신규대출 후 출자전환 방안이 거론되고 있다.
남도영 기자 dynam@kmib.co.kr
대우조선 노조, 자구안 동의서 제출
입력 2015-10-27 00: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