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판매가 급격히 늘고 있는 ‘캡슐 담배’에 대한 규제가 마련될 것으로 보인다. 보건 당국은 캡슐 담배의 유해성을 분석하는 연구에 착수했다.
질병관리본부는 26일 캡슐 담배 규제에 대한 과학적 근거를 마련하기 위해 캡슐 담배의 유해성을 분석하고 국내 판매와 해외 규제 현황을 조사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질본은 최근 관련 연구용역 공모를 냈다. 내년 상반기 중 연구결과가 나올 것으로 보인다.
캡슐 담배는 향료를 캡슐에 담아 담배 필터에 넣고 담배를 피우는 도중 터뜨릴 수 있게 만든 것이다. 여러 향이 나는 ‘가향 담배’의 일종이다. 한국건강증진개발원에 따르면 캡슐 담배의 시장 점유율은 2012년 0.1%에서 올해 초 8.3%로 급증했다. 올 1분기에는 국내 판매량이 16억5000만개비에 육박했다. KT&G의 담배 중 14.7%는 캡슐 담배인 것으로 알려졌다.
당국은 캡슐 담배가 청소년 신규 흡연자를 타깃으로 하고 있다고 보고 있다. 건강증진개발원은 ‘금연이슈리포트’ 지난 6월호에서 “캡슐 담배는 가향 담배 제품군의 혁신적 기술로 불리며 시장 판도를 바꾸고 있다”면서 “캡슐 담배의 주요 고객층은 어린 연령대의 신규 흡연자”라고 밝혔다. 캡슐에 든 첨가제는 담배의 자극을 낮추고 중독성을 강화해 인체 유해성을 증가시킨다는 견해도 있다.
하지만 국내에서 가향 및 캡슐 담배에 대한 규제는 사실상 없는 실정이다. 가향 물질이 포함됐음을 알리는 문구나 그림을 담배 포장이나 광고에 넣을 수 없게 하고 있지만 가향 물질 함유 자체는 법으로 제한받지 않는다. 질본은 “세계적으로 관리·규제 정책이 제시되고 있지 않다”고 밝혔다.
질병관리본부는 연구용역을 통해 국내에서 유통되는 캡슐 담배의 현황을 파악하고 해외 현황과 규제정책에 관한 정보를 모을 계획이다. 아울러 캡슐의 성분을 분석하고 인체 위해성에 관한 근거도 제시한다는 방침이다. 질병관리본부는 “캡슐 담배는 청소년의 흡연 시작을 조장하고 중독으로 이어지게 한다”면서 “규제에 필요한 과학적 근거를 창출할 것”이라고 밝혔다.
권기석 기자 keys@kmib.co.kr
불붙은 캡슐 담배 불끄기 나섰다… 당국, 유해성 분석 규제 근거 마련
입력 2015-10-26 21: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