젊은 남성 뇌졸중 환자 가운데 절반 가까이의 발병 원인이 평소 즐겨 피우는 담배라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뇌졸중은 뇌에 혈액을 공급하는 혈관이 막히는 뇌경색, 혈관이 터져 피 흐름이 중단되고 뇌세포가 빠르게 죽는 뇌출혈로 나뉜다. 뇌경색이 전체 뇌졸중의 70∼80%를 차지한다.
분당서울대병원 신경과 배희준 교수팀은 2008∼2010년 전국 9개 대학병원 및 지역 뇌졸중센터에 입원한 18∼90세 급성 뇌경색 환자 5107명을 분석한 결과, 45세 이하 젊은 남성 뇌졸중 환자의 45%가 흡연 때문이었다고 26일 밝혔다. 그 다음 원인으로 고혈압(29%)이 꼽혔다. 연구팀은 이들 환자의 생활습관, 병력 등을 국민건강영양조사에서 수집된 건강한 대조군과 비교했다.
46세 이상 65세 이하 중년 남성에서도 흡연(37%)과 고혈압(23%)이 주요 뇌졸중 발병 요인이었다. 66세 이상 노인에서는 남녀 모두 고혈압(남성 24%, 여성 23%)과 뇌졸중 과거력(남성 20%, 여성 17%)이 위험 요인으로 지목됐다.
배 교수는 “뇌졸중을 예방하려면 청·중년은 혈압 조절과 함께 금연을 실천하고 노인은 뇌졸중 재발을 막는 게 가장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저널 오브 스트로크’ 최근호에 발표됐다.
민태원 기자 twmin@kmib.co.kr
청장년 男 뇌졸중 45%는 흡연이 원인
입력 2015-10-26 2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