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구로구와 금천구에 걸쳐 있는 국내 최대 중소벤처기업 집적지 G밸리가 문화·주거·복지가 결합된 첨단 융복합산업단지로 도약한다. 1·3단지는 제조업을 고도화한 클러스트로, 2단지는 패션산업의 중심지로 특화 개발된다. 150억원 규모의 기업지원 투자펀드가 조성되고 녹지공간과 어린이집, 기숙사형 임대주택 등의 기반시설도 대폭 확충된다.
서울시는 이 같은 내용의 ‘G밸리 종합발전계획’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25일 밝혔다.
시는 G밸리를 단지별로 특화 개발하기로 했다. ICT(정보통신기술) 등 지식기반산업이 밀집한 1·3단지는 사물인터넷(lot)을 매개로 융·복합을 통해 제조업을 고도화한 클러스트로 본격 조성할 계획이다. 대형 패션 아웃렛이 모여 있는 2단지는 공동 마케팅 지원, 쇼룸 상시 운영, 수주상담회 지원 등을 통해 패션산업 특화단지로 발전시켜 나가기로 했다.
시는 또 G밸리 내 기업들의 창업, R&D, 인력양성, 판로개척 등을 지원하기 위해 내년까지 150억원 규모의 ‘G밸리 기업지원 투자펀드’를 조성해 운영할 계획이다.
여가·문화·주거 등의 지원시설도 확충된다. 2018년까지 쉼터, 옥상정원 및 텃밭, 가로정원 등 녹지공간을 39곳(2만1200㎥) 추가 조성할 계획이다. 또 쪽잠공간, 열린서재, 휴게카페, 나눔부엌 등으로 구성된 청년직장인 네트워크 공간 ‘무중력지대’를 2017년까지 1단지에 추가 조성할 예정이다. 젊은 맞벌이 부부들을 위해 국공립·직장 혼합형 어린이집도 단지 내에 5곳 추가 설치된다. 주변지역에 임대료가 시세의 30∼70% 수준인 기숙사형 임대주택 580가구도 확충한다.
열악한 교통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철산교 확장, 2·3단지를 연결하는 수출의 다리 고가 램프 설치에 대한 타당성 조사도 실시한다. 2018년에는 디지털3단지와 두산길 간 지하차도를 완공하고 지하철 7호선 가산디지털단지역의 출입구 신설·확충 사업도 2019년까지 마무리할 계획이다.
박원순 시장은 앞서 지난 23일 G밸리를 방문한 자리에서 “G밸리를 적극 지원하고 온수산업단지, 마곡단지 등과 연계해 명실상부한 서울의 미래 성장 거점이 될 수 있게 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라동철 선임기자
G밸리, 첨단 융복합산업단지 육성
입력 2015-10-25 21: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