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보라매병원(병원장 윤강섭 서울의대 교수) 재활의학과는 국립재활원 로봇보급사업의 일환으로 손 재활로봇과 체간(몸통)보정 재활로봇을 도입해 재활치료에 활용 중이라고 26일 밝혔다.
손 재활로봇은 손 기능이 떨어진 뇌졸중 환자나 척수손상 환자의 수작업 재활을 돕기 위해 게임 같이 흥미로운 요소를 로봇에 결합한 것이 특징이다. 재활 치료 중 지루한 느낌이 줄어 상대적으로 오랫동안 훈련하고 치료 만족도까지 높이는 효과가 있다.
체간보정 재활로봇(사진)도 뇌졸중이나 척수손상으로 몸을 움직이는데 제한이 따르는 사지마비 환자에게 도움을 준다. 환자가 몸의 균형을 잡고 앉거나 일어서는 기능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할 때 간단한 게임을 접목한 로봇의 도움을 받는다. 로봇은 재미있게 환자 몸의 균형을 잡고 보행 기능을 회복할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한다. 이들 로봇은 주로 입원 환자 치료에 활용된다. 뇌졸중 환자와 척수손상 환자는 입원 중 매일 1회씩 치료를 받을 수 있다.
이시욱 재활의학과 교수는 “뇌졸중 및 척수손상 환자의 조기 회복을 위해 앞으로 사지마비, 반신마비 환자들의 재활치료에 재활로봇을 더 적극적으로 활용할 계획”이라고 말했다.이기수 의학전문기자
“삐릿∼ 걸어보세요” 로봇이 재활치료사
입력 2015-10-26 18: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