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중공업, 대우조선해양, 삼성중공업 등 국내 조선 3사의 올해 적자 규모가 사상 최대인 7조5000여억원에 달할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이미 상반기에만 4조7000여억원의 영업손실을 본 데다 해양프로젝트 공기 지연 등의 악재로 하반기에도 천문학적 적자가 불가피하다는 분석이다. 우리나라에 조선업이 들어온 이래 빅 3가 동반 적자를 내는 것도 이번이 처음이라고 하니 국내 조선업 불황이 어느 정도 심각한지 알 수 있다.
일각에서는 적자 규모가 이들 업체가 향후 10년간 정상적으로 조업해도 쉽게 갚기 어려울 정도라고 우려한다. 회사 측은 임원 및 중간관리자 구조조정, 임금 삭감, 자산 매각 등의 자구계획을 펴고 있다. 정부 역시 지원 계획을 마련하는 등 대책 마련에 부심하고 있다. 그러나 실효를 제대로 거두지 못하고 있어 안타깝다. 무엇보다 노조의 적극적인 협조가 부족하다는 것이 걸림돌이다. 채권단이 지난 23일 대우조선에 대한 지원책을 발표키로 했다가 보류한 이유가 노조의 자구계획 동의서 미제출 때문이란 사례에서 볼 수 있듯 노조의 고통 분담이 그 어느 때보다 절실하다. 임금 동결이나 파업 포기 등을 노조가 수용할 수 없다고 떼를 쓸 만큼 여건이 녹록지 않다. 시장 논리로만 보면 조선업은 사실 퇴출돼야 마땅하다. 정부가 국민 세금으로 살려보겠다고 나서는 마당에 노조가 찬밥 더운밥 가릴 때가 아니다. 절체절명의 위기 속에서도 자신들의 이익은 챙기겠다는 태도는 용납되지 않는다. 물론 채권단도 일방적으로 구조조정을 밀어붙일 것이 아니라 구체적인 정상화 계획을 밝히는 등 노조를 설득할 만한 대안을 제시해야 한다.
조선업 활로 모색은 타이밍이 중요하다. 이 상태가 지속되면 세계 조선업 1위 중국과의 격차가 커질 수밖에 없다. 노조는 조속히 고통에 동참해야 한다. 정부는 노사 갈등이 이어지는 업체는 퇴출시킨다는 단호한 의지를 갖고 경영 정상화에 임해야겠다.
[사설] 노사협력해야 조선업 구조조정 겨우 가능할 텐데
입력 2015-10-25 18:11